•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와 그 의미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 Novels into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7호 / 91 ~ 117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조선시대의 대표적 서사 장르인 고소설은 20세기 초반, 더 이상 새로운 작품 창작이 이어지지 않으면서 그 장르적 생명도 함께 쇠퇴해 갔다. 그러나 20세기 초 고소설은 새롭게 활자본으로 출판되면서 신소설, 신작 구소설들과 함께 독자들의 지평을 넓혀 갔다. 그 한 방향이 고소설의 동화화이다. 이 무렵 고소설은 잡지라는 새로운 매체 및 동화라는 새로운 장르와 결합하면서 동화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조선시대의 서사 양식인 고소설은 이 같은 방식으로 근대의 시작과 맞물렸다.
    본고는 근대 초기 아동 독서물로 출판되는 고소설을 대상으로, 고소설의 동화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 고소설의 동화화가 고소설이 근대를 관통하는 데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관 발행 잡지인 <소년>, <붉은 저고리>, <아이들보이>, <새별>, <청춘>과 1920년대에 출판된 대표적 동화집인 <조선동화집>, <조선동화대집>, <조선전래동화집> 소재 동화 중 그 원천이 고소설에서 유래한 작품들을 검토하여 20세기 초 고소설의 동화화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 당대의 고소설 동화화 작업은 그 이전까지는 고소설 독자로 상정되지 않았던 어린이들을 새롭게 독자로 얻게 되었다. 당시 ‘어린이’와 아동문학은 소파 방정환에 의해 그 가치가 새롭게 강조되던 대상들이었으며, 고소설의 동화화는 어린이를 위한 새로운 읽을거리를 마련해야 했던 당대의 흐름과도 유관하다. 20세기 초 고소설의 동화화는 고소설이 어렸을 때의 독서 경험이 되고 또 이것이 교육 현장과 긴밀하게 연관되면서 고소설 줄거리가 어린 시절부터 공유하는 일종의 서사 지식 내지 국민적 교양으로 자리 잡는 효과를 낳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영어초록

    The classic novel[古小說], a representative narrative genre of Chosun, has been said to be declin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ecause at that time only monotonous remakes were made in succession. Ironically, the novel circulated to a wider circle of readers at that very time as it started to be printed. In the process, it also appeared in the magazines and was combined into children's literature. This shows one aspect of how the Chosun dynasty's literal genre engaged with modernity.
    Considering the cultural context above,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novels into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this transformation. By doing this, novels' role in the early modern period can be explained. This paper not only studies magazines issued by the newspaper company, but also the fairy tale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1920s.
    The most noticeable transformation of novels is that of the Heungbu-jeon. Hypothetically, the transformed version of Heungbu-Jeon might emphasize the bond of brothers as the children's literature tends to be didactic.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children version of Heungbu-Jeon does not intend to emphasize the bond of brothers. Rather, its conventional ending emphasizing the brotherhood can be found in various versions of the original novel.
    This paper also has found that the early 20th century's novels have gained a new reader class, the children, as transformed into juvenile literature. As a result, people could have common reading experiences of classical novels in their childhood at that time and the classic novel became common knowledge and culture of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