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前漢初 中尉의 권력화 현상 (The Phenomenon of Power Consolidation by the Zhongwei(中尉) in the Early Western Han Perio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4.12
37P 미리보기
前漢初 中尉의 권력화 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26호 / 97 ~ 133페이지
    · 저자명 : 김종희

    초록

    본고는 前漢初 中尉의 권한을 분석하며 권력화 경향을 논의하였다. 먼저 中尉는 여러 都官계통의 佐·史를 임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卒長·五百將·候長이나 官佐·史 등을 차출하여 전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측했다. 이는 秦代에 비해 확대된 中尉의 권한을 보여준다. 또한 秩 600石이상 고급 軍吏의 인선 과정에서 中尉는 擇人權을 가지고 있다. 中尉는 그 자체로 장군은 아니며, 장군보다 동원할 수 있는 인원 종류와 규모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예하 정규부대를 두고 이를 통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장군에 비견하는 권력을 가졌다. 이에 內史의 권한만으로는 京師지역내 中尉의 권력화를 견제하기 어려웠다. 「二年律令」의 규정에 따르면 尉계통은 治獄權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中尉가 각종 사법 행위를 통해 宗室 및 豪族을 압박하며 권력화되었다. 武帝시기에 이르러 執金吾로 개칭되며 권한은 축소되는데, 이는 軍官을 통해 황제 권력을 보호하는 의도는 줄곧 관철하되, 특정 軍官의 권력화는 막은 조치이다. 아울러 中尉의 개칭을 통해 중앙 朝廷과 제후국 사이 상이한 官制 변화의 흐름을 유추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authority of the Zhongwei (中尉) during the early Western Han period and discusses its tendencies toward power consolidation. First, it is presumed that the Zhongwei could appoint various assistants and scribes (佐・史) within the hierarchical systems of the capital offices and, in certain cases, transfer or reassign officials such as company commanders (卒長), commanders of five hundred (五百將), troop supervisors (候長), and other 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scribes. This all demonstrates the expanded authority of the Zhongwei compared to the Qin dynasty. Furthermore, in the selection process of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with stipends of 600 dan (石) or more, the Zhongwei (中尉) held the authority to select personnel (擇人權). The Zhongwei was not a general per se, and the types and scale of personnel he could mobilize were more limited than those of a general. However, since he commanded regular subordinate troops and could lead them, he held authority comparable to that of a general. Thus, it was challenging to restrain the Zhongwei’s growing power within the capital area solely with the authority of the Neishi (內史).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Ernian Lüling”(二年律令), the Wei (尉) system did not possess the authority to administer criminal cases. However, in practice, the Zhongwei gained power by exerting pressure on the royal family (宗室) and powerful families (豪族) through various judicial actions. By the time of Emperor Wu, the title was changed to Zhijinwu (執金吾), and its authority was weakened. This change reflects an intent to consistently protect imperial power through military officials while preventing the consolidation of power by any specific military official. Additionally, the renaming of the Zhongwei allows us to infer the differing trends in official systems between the Han dynasty court and the feudal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