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A Study on Yurimga(儒林歌))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1.09
31P 미리보기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41호 / 295 ~ 325페이지
    · 저자명 : 김승우

    초록

    본고는, 『樂章歌詞』·『時用鄕樂譜』·『樂學便考』에 수록되어 전하는 鮮初樂章 「儒林歌」의 제작시기와 작자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흐름과 특징을 논의함으로써 선초 악장 및 詩歌史의 전개 양상을 보다 정교하게 해명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악곡이 혹사한 「感君恩」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유림가」 제작의 하한연대는 세종24년(1442)으로 확인된다. 한편, 「유림가」는 태조를 칭송한 작품으로서,태조에 대한 악장이 세종 재위 후반기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태조 재위기에 지어졌다는 사실에 착안할 때, 「유림가」 역시 태조연간에 제작되었으며 문면에 漢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구체적인 시기는 한성천도 이후인 태조3년(1394)부터 태조7년(1398) 사이로 분석될 수 있다.
    「유림가」를 선초의 유생들이 지어올린 것이라는 추정이 있어 왔으나, 선초 악장의 제작 관행으로 미루어 이는 설득력이 약하다. 이 시기의 여타 악장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유림가」 역시 관각문인에 의해 지어졌을 개연성이 높고, 그 유력한 작자로는 鄭道傳이 지목된다. 정도전은 태조대의 악장 제작을 주도한 인사로서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국문악장을 남긴 전력이 있을 뿐 아니라, 「新都歌」·「靖東方曲」 등에 활용된 고려속요 양식이 「유림가」에도 동일하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품의 내용으로 보아도 『朝鮮經國典』·『經濟文鑑』 등에서 그가 강조했던 신왕조의 핵심 치적들이 「유림가」의 구절로 詩化된 흔적이 역력하다. 특히 역대의 수많은 사표들 가운데 굳이 唐初의 재상 房玄齡·杜如晦를 흠모하며 따르겠다고 직접 표출한 제5장은 정도전 자신의 자기다짐과도 같은 성격을 띤다.
    「유림가」는 크게 네 단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장 전절까지에서는 黃河淸 등 물이 맑아지는 상서를 통해 신왕조와 임금에 대한 송축을 전개하다가,제3장 후절부터 제4장까지에서는 표현을 바꾸어 각각 학과 봉으로 상징되는 신하와 임금 사이의 조화로운 협력 및 국가운영의 기반을 칭송하였다. 이어지는 제5장에서는 화자가 직접 문면에 등장하여 유자로서의 이상과 긍지를 펼쳐보였으며, 마지막 제6장에 들어 또 다른 서생에게로 그러한 유림의 이상을 확대하면서 유생들의 밝은 앞날을 기약하였다. 이러한 단락 구성은 기승전결의 단계에 부합하는데, 각 단계에 정도전의 입장을 투사하여 해석해 보아도 작품전체의 의미가 무리 없이 연결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on looking into when and by whom Yurimga(儒林歌)was composed and into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s a court poem(Akjang, 樂章) in former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t most of court poems which praise King Taejo(太祖) were composed in his reign and that Yurimga includes a certain word "the Han River(漢水)", Yurimga, which also commends King Taejo, is highly probable to have been written between 1394 when Joseon Dynasty transferred its capital to Seoul and 1398 when King Taejo vacated his throne.
    It has been presumed that Yurimga was composed and presented to a king by usual Confucian scholars, but there is little persuasion in it. As many other court poems in this period, it is very plausible that Yurimga was also written by an illustrious official. Jeong Dojeon(鄭道傳) can be presumed to have composed this poem not only because he had presented several court poems including Sindoga(新都歌) in the Korean vernacular in the reign of King Taejo but also because he often applied the style of Goryeogayo(高麗歌謠) to his compositions that is also widely found in Yurimga. Especially, the persona of the poem states in the fifth stanza that he is willing to admire and follow Pang Xuanling(房玄齡) and Du Ruhui(杜如晦), who were both predominant prime ministers in the period of former Tang Dynasty, which can be actually interpreted as Jeong Dojeon's own pledge.
    Yurimga is divid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first part from the beginning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stanza praises the dynasty and the king by presenting several propitious omens; the second part to the fourth stanza celebrates the harmonious balance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power of the retainers; in the fifth stanza, the third part, the persona displays his ideal and pride as a Confucian; Finally, in the last stanza, he calls another young Confucian who has not been yet in government service despite his hard working and shows his promising future in the new dynasty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