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공동체 존재의 토대로서 실존적 대화 (The existential dialogue as a basis of a language community in human existenc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9.02
45P 미리보기
언어공동체 존재의 토대로서 실존적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49권 / 297 ~ 341페이지
    · 저자명 : 윤석빈

    초록

    인간은 이성적 존재, 즉 언어적 존재다. 이성적 존재이며 감성적 존재다. 인간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 존재다. 인간은 타자와 함께 존재 할 경우에만 자기 존재 의미를 획득한다. 인간은 공동체 속으로 내던져졌고 공동체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언어공동체 속에서 타자와 함께 실존한다. 인간의 살아감은 인간이 완성된 존재자가 아니라 되어가는 존재자임을 의미한다. 되어가는 존재자로서 인간은 다른 한편 불완전한 존재자이며 욕망을 가지고 있는 존재자이기도 하다. 인간은 죽음에 이르기까지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다. 불완전한 존재로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인간은 자연세계를 탐구하고 해석하며, 타자와 대화를 통해 공존하고 상존하고자 한다.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타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인간은 공동체 존재일 수밖에 없다.
    인간의 공동체를 성립시키는 가장 중요한 토대는 언어, 보다 정확히 말해서 대화다. 엄밀히 말해 대화는 커뮤니케이션, 즉 의사전달 수단이 아니다. 물론 의사전달 수단을 포함하기는 하나, 그보다 더 근원적으로 대화는 존재방식이다. 인간은 내던져진 언어공동체 속에서 공동체언어를 배우며 감성과 이성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언어습득을 통해 타자와의 공동체 삶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공동체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단순히 언어를 배운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공동체의 정신을 배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 습득의 기초는 너와의 대화다.
    대화는 자기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토론도 아니고, 상대방을 이기려는 논쟁술도 아니다. 즉 납득과 설득이 대화론의 중요한 초점이 아니다. 대화의 영역은 주체성의 영역이 아니라, 대화는 공존의 길로 함께 나아가기 위한 필연적 토대이다. 대화자들은 서로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함께 대화의 장에 참여를 하면서 상생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 대화의 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열려있는 태도를 가지고 들을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대화의 장에서 모두 모든 직위와 권위를 내려놓고 평등한 상태에서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이끌어 나갈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화에서 반드시 합의된 결론이 필요치 않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논점은 첫째 인간은 언어공동체 존재라는 것이고, 둘째, 인간은 공동체존재로서 되어가는 존재이며 그 되어감은 홀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며, 그것을 실존이라 규정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존적 존재로서 타자와 함께 되어가는 과정은 실존적 대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영어초록

    The existential dialogue as the basis of a language community in human existence is the theme of this argument. Man, as a gemeinschaft being, not a solitary being, exists with other people. Human being is a becoming existence, since man thrown in gemeinschaft is an incomplete existence and not a perfect being. Human being is a tragic existence as well; in that it can never achieve the instinctive desire which is permanently pursued. Man tries to satisfy this desire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nature in human language as well as having dialogue with other people. The dialogue is the human being mode, not to mention that it is a communication. It is an essential base for a gemeinschaft human being. Human relationship needs dialogue. While making a dialogue, I become myself and you become yourself. Most people live through and in the dialogue, and our life begins with dialogue. I and you should be open minded to each other in dialogue.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have an attentive attitude that listens to others, rather than to talk. The subjects of this argument are as follows. First, man is the gemeinschaft existence. Second, man, as a gemeinschaft existence, grows up with others. Third, human existence in the gemeinschaf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existential dialogue. The dialogue should neither be reasonable nor emotional, but existential which includes bo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