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공동체 정체성의 형성 (The Birth of Collectivity in Early Chosǒ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02
31P 미리보기
조선 전기 공동체 정체성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56호 / 401 ~ 431페이지
    · 저자명 : 허준

    초록

    조선은 건국 이후 15세기에 이르기까지도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여러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당대의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신민의 충성심을 고양해야 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의 지배층은 국가 구성원들을 통합할 수 있는 역사적 관점과 인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통해 그 구성원들로부터 자신들의 정치에 대한 동의를 얻어 조선왕조의 권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민족’의 출현을 역사적 기원에서 찾는 ‘원초론적’ 관점에서 이러한 조선 초기 지배층의 정치 행위를 ‘민족주의적’인 것으로 정의하곤 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교는 종종 조선의 주체적 자기 인식을 제한하는 기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을 반복하기보다 국가를 안정시켜야 했던 당대의 정치인들에게 국가 정체성을 규정하는 일은 매우 긴급한 과업이었음을 강조하는데 보다 중점을 둔다. 그리고 국가 정체성의 체계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당대의 식자들이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고유성에 대한 인식을 피지배층과 나누려 했음을 강조한다. 조선의 식자들이 남긴 역사 기술은 그 신민들로 하여금 서로에 대한 동질감을 공유하고, 국가의 보호를 인식하게 하여 기존의 한정된 자기인식을 넘어서는 확장된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하는데 기여할 잠재성을 지니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예에 근거하여 조선 시대의 지속적인 역사적 경험과 사회 구성원간의 교류로 인해 당대 구성원들 사이에 국가를 상징으로 하는 새로운 공동체 정체성이 형성, 공유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when the Chosǒn was established and its political unrest still remained, the founders of the new state and their successors needed to legitimize their politics to secure the people’s loyalty. In this regard, the Chosǒn elite made many efforts to build and develop a more inclusive historical narrative to justify their rule and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monarchy.
    Regarding this, existing studies often define the Chosǒn elite’s self- recognition of their identity as “nationalism” because many of them have a primordialist vision of the nation as timeless. In these studies, the elite’s reference to Confucianism came to be explained as a factor which possibly weakened or limited Chosǒn people’s nation-centered view.
    This study, unlike existing studies, focuses more on insisting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state’s leaders was defining identities for the state to stabilize and legitimize their governance. This work also argues that after they made certain accomplishments for the purpose, the Chosŏn elite attempted to share their beliefs in the state’s historical and cultural brilliance with non-elite groups.
    Chosǒn elites’ historical writings had the potential to encourage Chosǒn people to share sympathy with each other, have gratitude to the state, and finally to have an extended identity as members of a larger polity which went beyond their previous identities as members of small groups and regio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ith continuous and active social interactions, various social constituents in Chosǒn came to share a “larger collectivity” identified and symbolized by th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