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상종의 사중출체(四重出體) 고찰 -『성유식론술기』와 『대승법원의림장』의 비교를 통하여- (A Study on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in Dharma-characteristics School)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법상종의 사중출체(四重出體) 고찰 -『성유식론술기』와 『대승법원의림장』의 비교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1호 / 159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재용

    초록

    사중출체(四重出體)는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교체론(敎體論)으로서 『성유식론술기』와 『대승법원의림장』 등의 법상유식 문헌에 전해지고 있다. 불교의 교체론은 부파불교 이후 논해져왔는데 법상유식의 입장에서 정리한 것이 사중출체이다.
    각각은 섭상귀성(攝相歸性), 섭경종심(攝境從心), 섭가수실(攝假隨實), 성용별론(性用別論)의 네 가지로서, 큰 범주에서 작은 범주로 좁혀지는 형태로 법상종의 교체를 정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중출체가 등장한 배경과 각각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성유식론술기』와 『대승법원의림장』의 해당 부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동안 행해진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보면 규기가 호법(護法)의 ‘부처 설법설’ 대신 ‘부처는 설법하지 않았다’고 하는 무성(無性)의 설을 지지하였다는 연구도 있고, 사중출체에 대한 논의에 호법 뿐 아니라 무성 등의 유식논사도 관련되어 있다고 하는 연구도 있었다. 본고에서 『성유식론술기』와 『대승법원의림장』을 비교분석한 결과 규기가 ‘부처는 설법했다’고 하는 호법의 입장을 계승하고 있으며, 사중출체 논의에 무성 등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중출체를 논할 때 큰 범주에서 작은 범주로 좁혀지는 방식을 참고하여 규기가 오중유식(五重唯識)을 주창했음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四重出體) is essence of Dharmacharacteristics school in China, and has been passed down in literature on Dharma-characteristics consciousness-only including ‘Cheng weishilun shuji’ and ‘Dasheng fayuan yilin zhang’ written by Buddhist priest Jaeun Kuiji. Priest Kuiji put together theories on essence of Śākyamuniʼs teachings that have been discussed since the period of sectarian Buddhism.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are ‘subsuming phenomenal characteristics and returning to nature(攝相歸性)’, ‘subsuming the cognitive object into consciousness(攝境從識)’, ‘subsuming provisional factors into real existence(攝假 隨實)’ and ‘nature and function describe discrete forms of existence(性用別論).’ Each defines teachings of consciousness-only Buddhism by gradually reducing the scope of discussion. This study compares ‘Cheng weishilun shuji’ and ‘Dasheng fayuan yilin zhang’ to demonstrate the background to emergence of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describe their respective meanings, and examine the reason for dividing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t both home and abroad, some argue that Kuiji purported a theory that ‘Buddha did not preach.’ and some claimed that debates on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also applied to consciousness-only scholars such as Asvabhāva(無性).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ngWeishilunShuji’ and ‘DashengFayuanYilinChang ’ showed that Kuiji took a stance of Dharmapāla(護法) who argued that Buddha preached, and that debates on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did not apply to Asvabhāva. We also found out that the method of narrowing a scope of discussion in understanding four types of issuance of existence influenced Kuiji, who later advocated five-fold consciousness-only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