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四書언해의 존대법 변용 -교정청본과 율곡본을 중심으로- (Variations of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in Saseo Eonhae: Focusing on Gyojeongcheong version and Yulgok's vers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2.09
35P 미리보기
四書언해의 존대법 변용 -교정청본과 율곡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2권 / 72호 / 177 ~ 211페이지
    · 저자명 : 유영옥

    초록

    필자는 선행 연구에서 선조조 경서언해서의 존대법을 고찰한 결과, ‘도통론’과 ‘상황논리’라는 두 가지 대원칙이 존재함을 밝혔다. 하지만 여기에 부합하지 않는 예외사항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는 분석하지 못하였기에, 본고에서 예외사항이 실은 예외가 아니라 존대법 원칙의 변용임을 밝히고 그에 내재된 함의를 추론하였다.
    교정청본과 율곡본 사서언해는 맹자와 告子의 대화 및 공자를 비판하는 隱者들의 말을 언해하면서 도통론의 한 측면인 闢異端에 의거하였고, 누군가의 말 속에 언급되는 제후의 언행에는 존대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삼았다. 또 존댓말을 쓰지 않았지만 결코 낮추었다고 보기 어려운 ‘중간적 표현’이 존재한다는 것도 두 언해서가 동일하였다.
    그러나 도통론과 상황논리의 존대법을 함께 적용해야 할 경우, 官撰인 교정청본은 도통론이 상황논리를 압도하여, 제후 앞에서 공자를 압존하고, 대화 구간을 벗어난 제후의 行은 낮추어 상대적으로 맹자를 높이며, 殷의 賢君에게는 존대하지 않고 周의 先君에게만 존대하였다.
    반면, 율곡본은 항상 상황논리를 유념하여 증자와 안자를 존대하되 공자 앞에서는 압존하고, 대화 상대자에 따라 인용되는 제후들의 언행을 낮추기도 하고 높이기도 하였다. 즉 율곡본은 교정청본보다 도통론을 유연하게 적용하고 상황논리의 존대법은 다양하게 변용하였다.

    영어초록

    In a previous work, this author inspected how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was applied to Confucian classic annotations in Korean which were published in the reign of King Seonj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lying that system are two main principles which are theory of mastering the way or ‘dotongron’ and situational logic or ‘sanghwangnonri’.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was unsuccessful in determining how to understand exceptions that didn't comply with any of the two principl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at such exceptions are just variations of the principles and infer implications that the variations have.
    Both Gyojeongcheong version of Saseo Eonhae and Yulgok's version of the annotated literature cling to one of the elements of dotongron, that is, byeokyidan[repelling of heresy] as they annotate conversation between Meng-zi and Gao-zi and hermits' criticism of Confucius. Also, the two versions have a common basic rule that no honorific words are used to annotate quoted speech from feudal lords. Nevertheless, both the versions include some annotations that hard to be determined between being honorific and being humble or, in other words. ‘moderate’ in style.
    Gyojeongcheongbon version of Saseo Eonhae braces for dotongron as well as sanghwangnonri in terms of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Indeed, however, the former principle overwhelms the latter one. The version treats speech from Confucius in a less honorific way than feudal lords. Also, it depicts behavior by the lords in a less respectful way than Meng-zi in order to position him relatively higher. Moreover, Gyojeongcheong version applies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when dealing with utterance only by monarchs of Zhou dynasty, excluding those of Yin dynasty.
    In contrast, Yulgok's version maintains sanghwangnonri throughout itself. Accordingly, that version has speech from Zeng-zi or Yan-zi annotated with honorific words whose degree gets lowered when the version works with Confucius. When it comes to feudal lords' speech or behavior, Yulgok's version dictates it in either honorific or humble style depending on who the lords converse with. Thus, Yulgok's version utilizes dotongron more flexibly than Gyojeongcheongbon version, and provides more variations of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under sanghwangnonri than the other v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