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Youth Mind Education Progra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1.06
29P 미리보기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4권 / 2호 / 231 ~ 25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지, 정재걸, 홍승표, 이승연, 백진호

    초록

    최근 청소년교육의 현주소는 창의융합교육, 진로교육의 내실화, 자유학기제를 통한 자기주도적인 학습, 디지털교육 확대 등이다. 이를 통해서지식교육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고, 경쟁과 입시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창의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면이없지 않다. 오늘날 교육은 이와 같은 변화할 사회에 대응하는 청소년들이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청소년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콜라보레이션이가능한 인재 양성, 새로운 사회시스템을 이해하고 주도하는 역량 제고, 공유역량을 갖춘 휴먼 4.0 배출, 사회변화에 열린 창의적 메이커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성과를 위해서 필요한 교육은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변화를 이해하고 시대에 부합하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형성할 수있는 교육이다. 특히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의 중심에 마음교육이 있다.
    미래사회의 청소년교육의 중심으로 마음교육을 꼽는 이유는 매우 자명하다. 마음교육은 미래사회를 대비해야 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삶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것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살아야 하는 청소년에게 마음교육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의 본질이 무엇이며, 변화할시대를 지혜롭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키우는 것이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일인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마음교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마음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이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또한 마음교육을 학교에서 활용하고 교육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하는 체제와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atus of youth education i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tern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expansion of digital education. Through this, the goal is to break away from knowledge education-oriented classes, relieve competition and admission stress, and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still a lack. Education today does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responding to these changing societies.
    In the future, youth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capable of collaboration, understanding and leading new social systems, producing human 4.0 with shared capabilities, and fostering creative makers open to social change. The education necessary for these achievements is not only technical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social changes and form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line with the times. In particular, education that can reach the essence of life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is desperately needed. At the center of this education is mind educ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mind education as the center of youth education in future society is very clear. Mind educ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people who need to prepare for a future society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reach the essence of life. Advances in technology beyond human control foreshadow a drastic change in human life. For teenagers who have to live in this reality, mind education can provide answers to the nature of anxiety and fear about an opaque future and what capabilities can be discovered to wisely prepare for a changing era.
    In order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mind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mind education shall be organized to conform to it.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mind education in schools and achieve educational effects, it is necessary to have a corresponding system and conte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Korean youth mind education program and looked at way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