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 中期 皇族의 관직임용 樣相과 특징 (The Imperial family and appointment of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Mid-Qing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06
40P 미리보기
淸 中期 皇族의 관직임용 樣相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3호 / 299 ~ 338페이지
    · 저자명 : 송미령

    초록

    이 글은 康熙연간(1662~1722)부터 道光연간(1821~1850)에 이르는 2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皇族들의 관직임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淸朝에서는 황족에게 爵位를 주고 分封을 하였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주지 않는 엄격한 관리를 하였다. 17세기 초반 누르하치(Nurhaci, 努爾哈赤) 一家는 통치자의 동업자로 시작하였기 때문에 상당한 위상을 지녔다. 강희제 중반 이후 황제 일인으로 권력이 집중되는 체제가 자리잡은 후에 황족들은 관료 조직 안에서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글이다.
    지금까지 정치사 분야에서 황족에 대한 연구는 睿親王 도르곤(Dorgon, 多爾袞), 怡親王 윤상(Yūn siyang, 允祥), 恭親王 이힌(Ihin, 奕訢) 등과 같은 주요 인물들에 대한 연구이거나 議政王大臣會議의 위상 약화와 王公들의 영향력 감소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 글은 큰 존재감을 갖지 않았던 ‘평범한’ 황족들의 관직경력을 검토하여 어떤 경로로 관료사회에 진출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동시에 이러한 황족의 관직임용이 명문화된 규정들과는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살피기 위해 『欽定大淸會典』과 『欽定大淸會典事例』의 관련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청 중기에 大學士, 軍機大臣, 6부 尙書, 都察院 左都御史, 理藩院 尙書로 활약했던 이들의 관직경력을 검토한 결과, 筆帖式이나 侍衛 등의 관직을 통해서 관료사회로 진출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황족을 임용하는 절차를 통해서 권력의 중심이 관리할 수 있는 존재로 변화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appointment of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in the Mid-Qing period. The emperor gave the land and the title to the imperial family. But there was no real authority. In other words they had to live in Beijing and could not own the people.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 Nurhachi family was a partner of the ruler. For that reason they had a high status. In the latter part of the Kangxi emperor’s reign, the emperor was able to take over the whole power.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imperial family have become bureaucrats.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ot-so-famous royalty.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duction of the authority of Deliberative Council of Princes and Ministers. And other studies we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of figures such as Dorgon(多爾袞), Yunsiyang(允祥) and Ihin(奕訢). I also looked at the connection with the provisions of appointing the imperial family as bureaucracy.
    For this purpose, the provisions of the case of Daqinghuidian(大淸會典) and Daqinghuidianshili(大淸會典事例) were review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erial family was appointed as the Imperial bodyguard or bithesi(筆帖式) in the mid-Qing period. The imperial family had to prove their ability to the emperor like ordinary bureaucrats so that they could be promoted.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imperial family has changed into a controlled entity in the bureau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