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靑銅器時代 무덤과 葬制의 變化 (Changes of Tombs and Funeral System in the Bronze Age – Focusing on Chuncheon A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8.08
29P 미리보기
靑銅器時代 무덤과 葬制의 變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01권 / 101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송만영

    초록

    청동기시대 장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춘천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묘제와 매장주체부 규모, 그리고 장제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매장주체부 길이 1.6m를 기준으로 신전장과 굴장으로 구분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춘천 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전엽에 목관묘가 처음 조영되면서 피장자를 신전장의 방식으로 매장하였으며, 주구묘와 석축식 석관묘가 조영되는 전기 중엽에 굴장이 출현하였다.
    청동기시대 중기에는 지석묘가 조영되면서 이차장의 장제가 출현한다. 신전장과 굴장 등의 일차장은 전 시기에 비해 비율이 감소하고 대신에 이차장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데, 지석묘 매장주체부의 70% 가량이 길이 0.9m 이하로 제작되었다.
    화장묘는 전기 전엽에 목관 내에서 피장자를 바로 편 자세로 화장(A1유형)과 더불어 매장하는 일차장의 형태로 출현하지만, 매장주체부가 목관에서 석관으로 변화하면서 전기 후엽에는 석관 내에서 목관 없이 피장자를 화장(A2유형)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 매장주체부 길이로 보아 굴장 자세로 화장, 매장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중기 중엽에 묘광 내에서 피장자를 화장한 후에 그 상부에 형식적으로 매장주체부를 조영하는 화장(B유형)이 유행하고 중기 후엽 또는 후반에 외부에서 화장한 인골을 석관 내에 안치하는, 이차장 형태의 화장(C유형)이 출현한다. 이와 같이 매장주체부 규모의 축소 과정은 장제 변화에 따른 것인데, 화장 역시 동일한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lation with the burial system, the size of the internment pit, and the funeral system in Chuncheon area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the funeral system in the Korean Bronze age. As a result, it is classified into the extended burials and flexed, or crouched burials based on the 1.6m length of the central part of the internment. According to this standard, in Chuncheon area in the first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the wooden coffin was first produced, and the dead were buried in the manner of the extended burials. On the other hand, the flexed burials emerged in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when the moated graves and stone-build type stone coffins were made. In the middle Bronze Age, the funeral system of the secondary inhumation emerged with the dolmens. Accordingly, instead of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first burials such as extended and flexed, the secondary inhumation increased, and approximately 70% of dolmen burial pits were made to be less than 0.9m in length. In the first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the cremation grave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primary burials in which the dead with the extended body in the wooden coffin was cremated (A1 type) and then buried.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as the coffin type changed from wood to stone, it changed into a way of cremating the dead without the wood coffin inside the stone coffin (A2 type) in the first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It is presumed that the body was interred in a fetal position as seen from the length of the burial pits. Also, the method that the upper part of the mound was made after cremating the buried person in the burial pit (B type) was popular in the middle part of the middle Bronze age. The secondary inhumation type of cremation that the human bones cremated from the outside put inside the stone coffin (C type) appeared in the late part of the middle Bronze age. This process of reducing the size of the burial pit is based on the change of the funeral system, and the cremation also exhibits the same process of the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