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 기관실습 성과측정 도구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the prospective youth worker’s field practic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0.03
27P 미리보기
예비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 기관실습 성과측정 도구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 6권 / 1호 / 47 ~ 73페이지
    · 저자명 : 최주현, 박대권

    초록

    이 연구는 예비청소년지도사가 청소년 기관실습을 통해 설정한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관실습 전반에 대한 실습 만족도와 실습목표에 대한 목표달성도로 정의한 뒤 청소년전문가에게 검토 후 53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53개의 예비문항은 청소년관련학과에 재학 중이며 실습 경험이 있는 예비청소년지도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251명의 본 조사 대상에게 설문 응답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변량의 65.369%를 설명하는 5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기관의 실습지원 만족도’ 12문항, ‘실습지도자와의 관계만족도’ 7문항, ‘실습목표에 대한 자기평가’ 8문항, ‘기관 이해 수준’ 4문항, ‘실습지도만족도’ 2문항으로 총 34문항의 청소년 기관실습 성과척도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기관실습 성과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전체 문항에 대해서 .962로 높게 나타났고, 하위 요인 별 내적 일치도 계수는 기관의 실습지원 만족도 요인 .928, 실습지원 만족도요인 .929, 실습지도자와의 관계 만족도 요인 .927, 실습목표에 대한 자기평가요인 .899, 기관 이해수준요인 .822, 실습지도 만족도요인 .75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기관실습 성과 개념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on that can measure the performance of youth field practice, and to examine their validity.
    For this study, practice outcome of youth field practice was defined as achievement of a goal on practice satisfaction and goal for overall youth field practice, and 59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s for prepared preliminary questions, appropriateness and contents validation were reviewed by 14 youth field instructors who currently worked in the youth field and 1 professor in the related area, and 53 questions were finally chosen. Selected preliminary questions were used to implement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30 preliminary youth field instructors who currently worked in youth field academic department and had an experience of practice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reactions of respondents and questions. Afterwards, after reflecting feedback from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selecting final questions, survey questions were received from 265 preliminary youth field instructors who currently worked in youth field academic department and had an experience of practice in youth field, and survey responses from 251 instructors were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 outlier test.
    Ques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ed in five factors describing 65.369 % of the total variance. A total of 33 questions of the youth field practice outcome criteria, consisting of 12 items corresponding to satisfaction level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practice, 7 items corresponding to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with practice instructors',8 items corresponding to 'self-evaluation', 4 items corresponding to ‘understanding level of institution’, and 2 items corresponding to 'satisfaction of practice instruction', were develope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outcome scale for youth field practice was high as .962 for the total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by sub factors were .929 for the practice support satisfaction factor of the institution, .927 for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 with the practice instructors, .899 for the self-evaluation factor, .822 for the institution understanding level factor, and .759 for the satisfaction factor of practice instru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has defined the practice outcome of youth field practice and developed related criteria when there have not been studies actively conducted on them. In addition,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that it can be a criterion for self-evaluation of trainees after youth field practice as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practi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a goal for practice.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hat it has not verified the appropriateness of practice outcome measuring model in youth field practice, and practice outcome might differ depending on subjective judgment of trainees. Therefore, it seems that follow-up studies need to proceed the research for validation and develop objective criteria on the practice outcome in youth field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