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조선아악기해설』․『조선아악기사진첩』을 중심으로- (Research of Joseon Music Studies by Japanese in 1930’s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 A Photo Album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3.06
35P 미리보기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조선아악기해설』․『조선아악기사진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3권 / 79 ~ 113페이지
    · 저자명 : 이지선

    초록

    본 연구는 1930년대 일본인에 의해서 수행된 조선음악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고찰 대상은 1935년에 야마다 사나에가 저술한 『조선아악기해설』과 『조선아악기사진첩』이다.
    『조선아악기해설』과 『조선아악기사진첩』은 1999년에 하나로 합쳐져 『조선아악기해설』 이라는 이름으로 복각되었다. 하지만 복각본은 원본과는 달리 오기가 적지 않고, 단순 실수에 의한 오류 외에도 의도적으로 사진의 명칭을 바꾼 흔적도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각본은 제외하고, 저자의 친필로 작성된 원본(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사용했다.
    『조선아악기해설』은 「개설」에 이어 67종의 악기 항목(무구 6종 포함), 그리고 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특징은 크게 세 측면으로 볼 수 있는데, 조선 문헌의 인용, 저자 자신의 관찰에 의한 기술, 일본악기와의 비교 측면이다. 첫째는 당시 이왕직아악사장이었던 함화진이 저술한 『조선악기편』을 발췌, 요약하고 있는 측면이고, 둘째는 조선악기에 익숙하지 않은 입장에서 면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그 특징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점이며, 셋째는 일본악기와의 비교를 통해 동양악기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점인데, 이 세 측면이 잘 조합되어 균형있는 내용으로 만들어졌다.
    『조선아악기사진첩』에는 조선신궁에서의 연주 장면, 57종의 악기, 6종의 무구가 총 44장의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조선신궁에서의 연주 장면은 1926년부터 시작된 정기 예제(禮祭)의 모습으로 생각되고, 사진 속 악기 구성으로 보아 이때 연주된 음악은 제례악 및 연례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악기 사진 43장은 저자가 개인적으로 찍은 것이 아니라 이왕직아악부에서 제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진첩의 특징 중 하나는 현악기의 사진을 앞면과 뒷면 모두 찍고 있다는 점과 조선악기와 유사한 일본악기 사진을 수록하고 있는 점이다. 악기 외에 무구의 사진을 싣고 있는 점도 당시의 다른 사진자료집과는 구분되는 특징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into the Joseon Music studies conducted by Japanese in 1930s, focusing on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and A Photo Album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published in 1935.
    Compiled by Yamada Sanae, the two books were compiled into one and reprinted with a title,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However, this reprint appears to have quite a few misdescription and intentional changes of the titles of photographs, not to mention of the simple mistakes. Thus, I have examined the original copies in the author's own handwriting, which are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consists of general observations, 67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6 kinds of dance materials, and epilogue. This book has three characteristics:First, the author quoted Joseon literature.
    Second, the author described instruments by his own observations.
    Third, the author compared the Joseon Musical instruments to the Japanese ones.
    A Photo Album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contains the scenes of performances in Joseon Shrine, 57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and 6 kinds of dance materials in 44 photographs. The performances in Joseon Shrine appear to be of the court ritual music and banquet music in regular scheduled rituals commenced from 1926, considering the musical instruments shown in the photographs. The 43 photographs of musical instruments are presumed not to have been taken by the author himself but provided by Yiwangjik Aakbu(The Conservatory of the Yi Royal Famil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hoto album is that the photos of string instruments are taken both from the front and back, and compared to the similar Japanese instruments. It is also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it contains the photographs of dance materials as well as those of musical instruments, unlike other photo album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