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호기념관 소장 『청풍계첩(靑楓禊帖)』 일고(一考) (A Survey of 『Cheongpunggyecheop』in the Possession of Memorial for Seongh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5.08
28P 미리보기
성호기념관 소장 『청풍계첩(靑楓禊帖)』 일고(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6호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박종훈

    초록

    그간 청풍계나 청풍계와 관련된 연구는 간간히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청풍계의 모임을 그림과 시로 기록한 시화첩인 『청풍계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1620년 청풍계의 모임을 시와 그림으로 엮은 『청풍계첩』의 성첩과정과 작품을 살펴보았다.
    1620년 김상용이 청풍계를 떠나 원주에 거주하고 있을 때, 김신국, 이상의, 민형남, 이덕형, 최희남, 이경전, 이필영 7인은 상춘의 목적으로 청풍계를 찾았다. 그리고 다음해인 1621년 입춘에 민형남, 이필영이 빠진 상태에서 재차 모임을 개최했다. 이쯤 김신국이 1620년 그날의 상춘을 그림으로 그리고 시로 옮겨 후대에 전해주자고 제안했으며, 이 제안에 따라 그 풍경을 그림으로 그리고 각자 시작품을 지었다. 실제 그림이 그려지고 시작(詩作)이 이루어진 것은 1년이 지난 1621년이었는데, 『청풍계첩』에 실린 작품 속에서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모임에 참여했던 이상의는 성호 이익의 할아버지인데, 이익은 1735년 집안의 유물을 정리하다가 청풍계 모임과 관련된 시화(詩畵)를 발견하고 이를 『청풍계첩』이라는 시화첩으로 엮었다. 이것이 성호기념관에 소장된 『청풍계첩』이다. 이 과정에서 이익은 청풍도 전경을 그린 그림을 임모(臨模)했다고 밝혔다.
    이 『청풍계첩』에는 ‘靑楓賞春’이라는 이상의의 친필과 청풍계의 전경을 그려놓은 그림, 김신국의 서문, 이어 7인의 시작품 17수가 수록되어 있다. 각 시인의 작품 말미에는 각 시인에 대한 정보가 간략하게 부기되어 있다.
    『청풍계첩』에 실린 작품은 유상처에서의 흥취가 주된 내용이다. 이러한 흥취는 탈속의 이미지로 연결되었고 신선 세계로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집단적 혹은 개인적인 자부심의 표출을 위해, 작품 내에서 모임에 함께 했던 이들의 재능을 칭송했다. 자신들의 모임을 왕희지의 난정 모임이나 소식의 서원 모임에 견준 것도 자부심을 드러내기 위한 방편이었다. 이러한 작품 경향은 조선조 문인들의 시회(詩會)나 아집(雅集)에서 흔하게 보이는 것이라, 『청풍계첩』에 실린 작품만의 특징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영어초록

    A review of study on the Cheongpunggye or in relation to Cheongpunggye was report sparingly. But, It wasn`t full-scale discussion about 『Cheongpunggyecheop』 that record a meeting of Cheongpunggye by a picture and poetry. So, This study was considered that the course of made 『Cheongpunggyecheop』and works that compile a album by drew picture and wrote poem showed meeting of Cheongpunggye at 1620year.
    At 1620, Kim-Sangyong leaved Cheongpunggye and lived in Wonju, they who Kim- Shinguk, Lee-Sangeui, Min-hyeongnam, Lee-dukhyeong, Choi-heenam, Lee-kyungjeon, Lee-pilyoung went to Chengpunggye by purpose of enjoying spring. And the next year the first of spring, except Min-hyeongnam and Lee-pilyoung, they hold again the meeting. Kim-Shinguk proposed that delivered next generation that drew a picture and wrote a poem. And according to this propose, they respectively drew the landscape and wrote poem. It's been a year than they actuality drew picture and wrote poem at 1621year. But, It could confirm work in 『Cheongpunggyecheop』.
    Lee-sangeui who took part in is Seongho Lee-ik`s grandfather. but, Lee-ik organized family antiquity. Then He discovered poem and picture related Cheongpunggye meeting. So, It was compiled poem and picture album that called『Cheongpunggyecheop』. This was 『Cheongpunggyecheop』 in the Possession of Memorial for Seongho. Iin the process, Lee-lk spoke that moved drew panorama of cheongpungdao.
    In this 『Cheongpunggyecheop』, It was included that Lee-sangeui personally wrote ‘Cheongpungsangcun’ and drew panorama of cheongpunggye, Cho-shinguk wrote preface and 7people wrote 17 poems. In the end of each poet`s work, It added that simple information about each poet.
    At work of 『Cheongpunggyecheop』, It was mainly excitement that played in the spring. Such excitement was connected image of unworldliness. and it was expanded into immortal world. also, to express collective or personal self-respect pride, they complimented their talent that share the meeting within work.
    This was use as an instrument to expose self-respect pride that compare their meeting to Wang-hsichin`s Nanjeong meeting or Su-shi Seowon meeting. Such tendency of work commonly seen at a poetry club or own book literary men of choseon Dynasity. so, this could not be considered feature of works in 『Cheongpunggyecheo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