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첩자계승과 첩의 가계계승 개입 양상 (Secondary-son Heirship and the Concubine’s Involvement in Family Succession in Late Joseon Socie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04
3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첩자계승과 첩의 가계계승 개입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4호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김보람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가계계승의 한 방식이었던 첩자계승의 예학적, 실제적 맥락을 검토하고, 이를 배경으로 일부 첩들이 가계계승 문제에 개입하는 양상들을 포착해보았다.
    조선 후기 사회는 가계계승 문제에서 적서를 차별하는 움직임이 거센 한편으로 첩자를 친족 질서 내로 수용하려는 움직임도 동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다. 따라서 17세기 이후 입후가 본격적으로 확산되어 일정 부분 첩자계승의 자리를 대체한 속에서도 첩자계승 문제는 영향력 있는 유학자들 사이에서 쟁점이 되는 사안이었고, 실제 사례들에 있어서도 첩자계승이 입후로 자연스럽게 대체되었다고 보기에 어려운 모습들이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들 사이에 서로 다른 이해관계들이 얽히면서 상당한 갈등과 긴장이 수반되기도 했다.
    첩자계승은 곧 집안 내 첩의 지위와도 관계되었을 터, 일부 첩들은 아들의 승적을 위해 적극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승적한 아들의 계승권을 지키고자 노력한 첩이 있었다면, 적손 계후자가 정해진 상황에서 아들의 승적을 위해 탈적을 꾀한 첩들도 있었다. 어느 쪽이든 첩자계승이라는 목표는 같았지만 그 성격이 달랐기에 첩들은 서로 다른 결말을 맞이해야 했다.
    한편, 아들의 승적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첩은 정처와 불가피한 갈등을 겪기도 했다. 적손의 입후를 원한 정처와 첩자계승을 도모한 첩 사이의 갈등으로서, 이는 가계계승을 둘러싼 처첩갈등의 전형적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첩은 기존의 엄격한 처첩질서에 균열을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정처가 생존해 있는 한 아들의 승적과 관련한 첩의 행위성은 좌절되기 쉬운 한계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살핀 첩의 모습은 조선 후기 가문의 가계계승 문제에서 이들 ‘주변부’ 여성들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지만은 않았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이들은 자기 목숨을 걸 만큼 대담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했는데, 이는 첩에 대한 기존의 종속적 이미지와는 분명 다른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면모는 조선시대 가족관계 내에서 혹은 종법 질서와의 관계 속에서 첩과 서얼의 복잡한 존재양태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s of family succession by secondary sons in late Joseon society, shedding light on the significant role concubines played in these affairs.
    Late Joseon society featured a complex situation concerning secondary sons: while they were generally considered unsuitable as ritual heirs, there were concurrent movements seeking to integrate them into their father’s descent group. Despite the prevalence of adopting an agnatic son in the absence of a primary heir, the issue of secondary-son heirship remained contentious among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Moreover, real-life instances arose where a secondary son was favored over an adopted one, revealing intertwined human relations and conflicting interests over family succession.
    Considering the profound impact of secondary-son heirship on the status and welfare of their mothers, the concubines, these women were driven to advocate for their sons’ elevation to ritual heirship. Some fought against threats from collateral kinsmen to uphold their son’s rightful position as heir, while others sought to usurp the established heirship of an adoptee.
    Concubines often found themselves in conflict with the primary wife in the pursuit of securing succession for their sons. This conflict typically centered around the wife advocating for adoption and the concubine advocating for secondary-son heirship. Although some concubines challenged the rigid hierarchy between wives and concubines, their active involvement in their son’s heirship faced obstacles as long as the primary wife remained alive.
    Nonetheless, this paper highlights that concubines, traditionally viewed as peripheral figures, were not entirely excluded from succession matters. Some displayed remarkable boldness and determination, even risking their own lives. These examples challenge the conventional portrayal of concubines as subordinate figures, prompting a deeper exploration of the complex existence and experiences of concubines and their sons within the patrilineal kinship order grounded in the descent-line princi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