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지식인의 소식(蘇軾) 필(筆) 《천제오운첩(天際烏雲帖)》의 서풍 이해와 시의(詩意)의 시각화 (Joseo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n the Calligraphy Style and Visualization over Poetic Meaning of 《Tianji wuyun tie》 by Su Sh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조선 지식인의 소식(蘇軾) 필(筆) 《천제오운첩(天際烏雲帖)》의 서풍 이해와 시의(詩意)의 시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63호 / 143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현권

    초록

    《천제오운첩(天際烏雲帖)》은 소식(蘇軾)이 채양(蔡襄)의 「몽중(夢中)」 시를 쓴 서첩이다. 조선에서 서첩과 관련한 서화는 경화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소론과 북인계 중심의 근기 남인을 비롯해 노론 낙론계 일부가 참여하였다. 전자는 개방적인 학문 경향과 사상의 유연성, 그리고 예술의 독립성을 추구하였기에 이를 주도하였다.
    《천제오운첩》은 적어도 18세기 전반부터 임정(任珽)과 강세황(姜世晃)에 의해 『괘설당첩(快雪堂帖)』 같은 모본(模本)으로 조선에 소개되어 있었으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후반에는 조수삼(趙秀三)이 원명대 제발이 포함된 정진갑(程振甲) 소장본의 탁본을 소개하였다. 이는 조선에서 서첩을 주목하는 기반이 되었다. 서첩의 진적 소개는 성리학의 가치를 인정한 조선 지식인이 한송 절충론자인 옹방강(翁方綱)을 선호하고 교유를 가짐으로써 이루어졌다. 시작은 박제가(朴齊家) 등의 북학파가 하였다.
    19세기에는 《천제오운첩》의 소식 서풍을 수용한 부류가 나타났으며 서첩의 시의(詩意)를 회화로 구현하였다. 이런 경향은 김정희(金正喜)가 촉발했다면 신위(申緯)가 지속하고 확대하였다. 특히 첩학 계승자인 신위는 동파체를 익히는 법첩으로 《천제오운첩》을 선택하였고 주변의 지식인은 강세황에서 신위로 이어지는 화풍을 지속하였다. 이들은 별도의 유파를 형성하였다.

    영어초록

    《Tianji wuyun tie (天際烏雲帖)》, containing 「Mengzhong (夢中)」 by Cai Xiang (蔡襄) was composed by Su Shi (蘇軾). It was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hard copy such as 『Kuai xue tang tie (快雪堂帖)』 in the early 18th century, but failed to gain atten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rubbing of inscriptions owned by Jeong Jin-gap including epigraph from Yuan and Ming Dynasties was flown into Joseon, which provided the foundation for Bak Je-ga and Kim Jeong-hee to take note of 《Tianji wuyun tie》.
    Even though fondness toward Su Shi led to a considerable interest on art and its production, it was not common cultural phenomenon during late Joseon period. Rather, it was witnessed among specific group including Northerner-centered Gyeonggi Southern faction, Soron, and some Nangnon of Noron faction. In particular, Soron literati played a pivotal role in calligraphy and paintings. They were act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ile pursuing open-minded trends on learning, flexible thoughts, and independence of art.
    In addition, the eclecticism between Han and Song Learning during the 18th century encouraged Joseon intellectuals to build social relations with Weng Fanggang, one of Qing intellectuals, who appreciated the value of Song Learning. This brought original copy of 《Tianji wuyun tie》 to be introduced to Joseon, which was initiated by Bukhak School including Bak Je-ga. In the 19th century, the educated from Joseon borrowed rhyme from poem called 「Mengzhong (夢中)」and accepted Su Shi’s calligraphic style. They even visualized meaning of the poem into paintings. Kim Jeong-hee (1786-1856) commenced this movement, while Shin Wi (1769-1845) and his fellow scholars maintained and extended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