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휠체어 장애인 이동성 관점의 지하철 역 설계 평가: Space Syntax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Evaluation of Subway Stat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Wheelchair User Mobility: Using Space Syntax and Network Analysi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5.06
24P 미리보기
휠체어 장애인 이동성 관점의 지하철 역 설계 평가: Space Syntax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43권 / 3호 / 332 ~ 355페이지
    · 저자명 : 강채은, 백지윤, 유채원, 고다정, 권민지, 김혜빈, 이수기

    초록

    최근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개선하기 위해서 저상버스 도입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휠체어 장애인은 여전히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내 엘리베이터 위치의 불명확성, 경사로 부재 등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다. 복잡한 역 구조와 동선으로 휠체어 장애인의 이동이 어려우며 이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휠체어 장애인 관점에서 지하철역 내 공간 복잡성 및 이동성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휠체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나누어 Space Syntax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사 내 공간 복잡성을 분석하였고, 네트워크 분석으로 지상 출입구에서 승강장까지의 이동시간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클러스터링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비교해 휠체어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겪는 어려움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론으로 첫째, Space Syntax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이 휠체어 장애인의 지하철 이동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둘째, 오래된 역일수록 휠체어 장애인의 이동 효율성이 낮은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주로 서울시 동쪽 구간에 밀집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접근성이 낮은 역은 주로 복잡한 환승역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접근성이 높지만 이동시간이 긴 역들은 다른 역에 비해 각각의 출구가 동서남북 사방면으로 퍼져있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동시간이 짧은 역은 주로 일직선 구조를 가지는 역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접근성이 높은 역은 비장애인이 휠체어 장애인에 비해 개방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 설계자와 운영자가 휠체어 장애인을 고려한 역 설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효율적인 시설 배치와 운영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Despite efforts such as low-floor buses to improve wheelchair users’ mobility, they still face challenges in the subway, mainly due to unclear elevator locations and complex station layouts. This study analyzes spatial complexity and mobility for wheelchair users in Seoul Subway Line 2 using Space Syntax and network analysis. It calculates travel times from the entrance to the platform and compares accessibility between wheelchair users and non-disabled passengers. Findings include that older stations, particularly in eastern Seoul, reduce movement efficiency for wheelchair users. Complex transfer stations hinder mobility, while stations with high accessibility but long travel times tend to have exits in multiple directions. Non-disabled passengers find it easier to navigate, suggesting that station designs should prioritize clear routes for both groups.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ubway station design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wheelchair users, contributing to more efficient and inclusive subway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