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중국의 한국전쟁 소재 영화의 흐름과 특징 ―『장진호』2부작,『금강천』,『저격수』를 중심으로 (Screening the Korean War in China ― The Battle at Lake Changjin I & II (2021-2022), The Sacrifice (2020) and Snipers (2022))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최근 중국의 한국전쟁 소재 영화의 흐름과 특징 ―『장진호』2부작,『금강천』,『저격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언어문화연구 / 71호 / 399 ~ 429페이지
    · 저자명 : 이정훈

    초록

    본 논문은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중국영화 『장진호』 2부작 및 『금강천』, 『저격수』를 대상으로 주제, 재제, 표현형식 등의 측면에서 애국주의 주선율 영화와 상업영화의 특징이 결합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중국에서 최근까지 묵시적으로 정면에서 다루지 않아온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역사적 기억을 애국주의 주선율영화의 지향에 맞추어 변형시켜 미중 갈등 시대의 반미의식을 고양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에서는 재제, 인물설정, 서사형식, 촬영기법 등의 영화적 요소들을 최근 헐리우드에서 성공한 전쟁영화로부터 가져오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는 소위 ‘신주류영화’로 불리는 중국영화의 최근 제작 트렌드를 충실히 따르면서 현재 벌어지는 미국과의 갈등 상황 속에서 한국전쟁이라는 소재를 이 신주류영화의 문법에 대입한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이념지향적 성격을 전면에 내세운 주선율영화의 성격과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는 블록버스터 영화의 이질적 특징이 한데 결합된 이 작품들은 일견 높은 흥행성적과 더불어 중국 내에서 하나의 새로운 성공모델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전쟁에 대한 과도한 자국 중심의 역사해석 및 개인의 무한한 희생을 당연시하는 식의 애국주의가 갖는 편향적 성격으로 인해 중국 내에서도 영화의 내용과 관련된 논란과 갈등이 존재했으며 최근에 나온 유사한 재제의 작품인 『志願軍: 雄兵出擊』(2023)의 기대에 못미치는 흥행성적에서도 알 수 있듯 지속가능한 흐름으로 자리잡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ree recent Chinese films that focus on the Korean War as the main subject—The Battle at Lake Changjin duology, The Sacrifice, and Snipers—with respect to how they merge genre traits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film on the one hand and the zhuxuanlu (主旋律), a genre of Chinese filmmaking often described as nationalist propaganda, on the other. The thematic focus is itself a break from the tradition since historical memory surrounding Chin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remained an implicit subject of elision or evasion in China until recently. A notable feature of the three above films, moreover, is that while they rework these memories in conformity to the nationalist orientation of the zhuxuanlu, adapting the genre conventions to fit the current era of renewed Sino-American conflict, they also borrow liberally from Hollywood with respect to cinematic techniques. From characterization, plot development, to cinematography, these films mirror Hollywood’s own recent slate of successful combat films. Situating this phenomenon within the current geopolitical climate, the paper argues that the Korean War theme enables a posture of opposition to the US even while allowing the films to faithfully follow the production trend of the “New Mainstream Cinema.” Bringing together the disparate elements of the zhuxuanlu, namely its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blockbuster, which requires a concentrated investment of massive capital, in a fused form that appealed greatly to the contemporary Chinese movie-going public, the three films achieved great commercial success, appearing to present a new formula for success for contemporary Chinese cinema. At the same time, however, excessively Sinocentric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combined with biases inherent in their patriotic worldview that individual sacrifice is to be taken for granted as the limitless duty one must perform for the nation, led to a proliferation of critical commentary and debate about the three films. The mediocre box office performance of The Great War (2023), which sought to recreate the formula for success, further casts doubt on whether the trend w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recognizable gen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언어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