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의도기행>의 상호텍스트성 재고 - <어선천우환>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Reconsidering the Intertextuality of Muidogihaeng – View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Good Hop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8.09
38P 미리보기
&lt;무의도기행&gt;의 상호텍스트성 재고 - &lt;어선천우환&gt;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61호 / 105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모란

    초록

    본론은 이제까지 주로 아일랜드의 극작가 싱(J. M. Synge)과의 관련에서 논의되어 온 함세덕의 대표작 <무의도기행>(1941)에 대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을 새롭게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그 사실이란 바로, <무의도기행>이 네덜란드의 극작가 하이에르만스(Herman Heijermans)의 <어선천우환(Op Hoop Van Zegen)>(1900)을 차용하여 쓰여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본론은 <어선천우환>과 <무의도기행>의 기본적인 중심 플롯의 유사성 및 여타 묘사에서 확인되는 지엽적인 유사성들을 제시하며, <어선천우환>이 <무의도기행>의 가장 중심적인 원텍스트임을 논증하고, 이를 통해 <무의도기행>에 발현된 상호텍스트성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갱신하고자 한다.
    자연주의 리얼리즘의 뛰어난 유산 중 하나로 평가되는 <어선천우환>은 1928년에 일본의 연극인 구보 사카에(久保栄)에 의해 일본어로 번역된 이래, 1930년대 중반 일본 신극계의 중요한 레퍼토리 중 하나였다. 그러므로 본론에서는 우선, <무의도기행>의 원텍스트로서 <어선천우환>의 존재를 밝힌 후에, <어선천우환>이 당시의 일본 신극계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하는 작품이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어선천우환>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개의 텍스트, 즉 구보에 의해 다시 쓰여진 일본의 어민극 <어민(漁民)>(1931)과 함세덕에 의해 다시 쓰여진 조선의 어민극 <무의도기행>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며, 여타와 구별되는 <무의도기행>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론은, 탈역사적인 시공간에서의 아일랜드성을 탐구하는 싱의 작품과는 달리, <무의도기행>이 어민들의 고난의 원인으로서 자연뿐 아니라 식민지하 어촌의 모순된 사회구조, 산업구조를 강조했다는 점을 들어, 싱의 작품과 구별되는 <무의도기행>만의 독창성을 강조해 온 기존의 연구에 이의를 제기한다. 본론에서 검토하듯이, <어선천우환>과의 관련에서 보자면, <무의도기행>은 전체적인 구성 상 오히려 <어선천우환>의 주축 중 하나인 어업자본과의 대립을 약화시키며, 그를 통해 결과적으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비극으로 수렴하도록 재구성된 극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 significance to a newly found fact concerning Ham Sedeok (咸世德)’s Muidogihaeng (舞衣島紀行, 1941), his representative work that had, hitherto, bee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Irish dramatist J. M. Synge.
    What this paper shows as a new finding is that in all likelihood Muidogihaeng was an appropriated, or plagiarized, the work of a Dutch dramatist Herman Heijermans’s drama, Op Hoop Van Zegen (The Good Hope, 1900). In fact,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Good Hope is the original text of Muidogihaeng because they share the main storyline and some other minor points, which totally updates the nature of the intertextuality seen in Muidogihaeng.
    The Good Hope, often positively valued as a legacy of the literary movement in naturalistic realism,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by a leading light in the theater at the time, Kubo Sakaez(久保栄), in 1928 (under the title of Tenyumaru) and in 1930’s it was picked up often as an important play by many modern Japanese theatrical companies.
    After revealing the nature of The Good Hope as the original text of Muidogihaeng, the paper locates The Good Hope in the Shingeki movement. Then, it focuses on the two pieces of work derived from the Good hope: one is Gyomin (漁民, 1931), which is a drama concerning Japanese fishermen written by Kubo, and the other is Muidogihaeng, which is a drama concerning Korean fishermen written by Ham. Detailed comparison of these Japanese and Korean descendants of The Good Hope will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Muidogihaeng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original text (The Good Hope) or its Japanese counterpart (Gyomin).
    Former studies have argued that Muidogihaeng is original and creative because, different from the works of J. M. Synge that seeks the Irishness in the ahistorical spaces, it takes up not only nature but also the social and industrial structure as causes of fishermen’s predicament. To this very point this paper will make objection. See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Good Hope, Muidogihaeng, as a whole, less emphasizes the opposition to fishery capital; rather, it is a drama reorganized to highlight the tragedy of a mother who lost her loving 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