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황천 유역의 지형 발달과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luvial Deposits in Bonghwang River)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9.09
14P 미리보기
봉황천 유역의 지형 발달과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형학회지 / 16권 / 3호 / 29 ~ 42페이지
    · 저자명 : 김종연

    초록

    전통적으로 산간분지에 대한 지형학적인 연구들은 하천의 역동적인 역할보다는 사면으로부터의 물질제거과정과 풍화과정을 강조해 왔다. 또한 중소하천의 퇴적층 특성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봉황천에 대한 하천 충적지의 시추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곡선을 따른 하천퇴적층의 퇴적양상과 층후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봉황천의 종단곡선을 따라 나타나는 퇴적층이 지류의 합류, 하곡 폭의 제한 등의 국지적인 변수에 의해서 강력한 영향을 받았음이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퇴적층의 층후는 상류부 3~4m, 하류부 6m 이상으로 나타나 하류로 가면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합류부의 경우 층후가 증가하였다. 하천의 기반암 풍화대의 하상종단곡선은 현 하상종단곡선과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구간에 있어서 퇴적층의 층후가 얇아지며 이는 하곡 폭의 제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록완사면과 곡지에 대한 시추 결과는 풍화대 위에 이토와 점토가 2m이상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물질의 제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지시하였다. 이러한 지형발달 과정은 퇴적작용이 우세한 하천 환경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퇴적층과 풍화대에 대한 과학적 연대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해당 변화의 시기나 퇴적률 등은 밝혀내지 못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raditionally, researches on landscape evolution of mountain area in Korea have mainly focused on weathering and removal of weathered material from the slope rather than active role of river. The results of stratigraphic and geomorphic investigations on middle size rivers have been rarely reported. New sediment cores from River Bonghwang (tributary of upper Geumgang) showed complex sedimentary sequence of the area which was influenced by fluvial and slope processes. It is found that there was an erosion dominated period. While the erosional process was dominant in this area, bedrock reach were formed along the river. It is not clear what the cause of this erosion dominated period is. After the erosion dominant period, coarse sediment particles were supplied to valley bottom and start to accumulate sediment particles. During this aggradation stage, most of erosional processes on the slope could be decelerated or stopped by the effect of rising local base level. It could be caused by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drainage basin. By the boring core results for underground water resource investigation, all slope area covered with in-situ weathered saprolite. Clay and silt layers, the origin is not determined, cover the in-situ weathered material. Well preserved clay and silt layers mean that the denudation at slope area is not so active for present time. It is still not clear when and why this environmental change happened, as the burial age of each forming layers are not determined, yet. So, further research activities are needed to constrain the deposition rate and to determine the nature and cause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is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