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사 <천대별곡(天臺別曲)>에 구현된 자연의 형상과 의미 (Nature's Shape and Meaning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1.03
27P 미리보기
가사 &lt;천대별곡(天臺別曲)&gt;에 구현된 자연의 형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문학과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환경 / 20권 / 1호 / 33 ~ 59페이지
    · 저자명 : 송재연

    초록

    이 논문은 채득기의 문집 소재 <행장>과 <묘지명>을 비롯하여 교유인물의 한시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의 문학적 생애를 밝히고, 이와 관련하여 가사 <천대별곡>에 구현된 자연의 형상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40여년의 짧은 생을 살았던 채득기의 삶은 순탄했다고 볼 수 없다. 어려서 남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부모를 일찍 여의고 15세가 되어서야 학문을 배울 수 있었다. 학문에 대한 의욕이 높아서 『주역』을 비롯한 천문, 지리, 의학 등에 통달했지만, 과거를 통한 입신양명도 이루지 못했다. 게다가 병자호란으로 야기된 정치현실로 인해 그는 출사(出仕)를 포기한 채 속세의 시비와 영욕에서 벗어난 은일적 삶을 선택하였다.
    채득기는 속리산 동북쪽 화산의 선유동, 상주의 무지산을 거쳐 상주 자천대에 이거(移居)했는데, 이곳에서의 은거 생활은 가사 <천대별곡> 창작을 비롯한, 그의 문학 활동과 연관이 깊었다. 그는 자천대에서 무우정을 짓고 계절에 따라 변하는 풍광의 변화를 만끽하고, 주변의 자연경물을 탐승(探勝)하며 시문을 짓고 음악을 즐기는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심양에 볼모로 잡혀있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보살피기 위해 심양으로 향하면서 자천대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때의 심정을 가사 <천대별곡>으로 형상화하였다.
    <천대별곡>에는 왕명을 받들어 중국 심양으로 떠나는 작자가 자신의 은거지였던 자천대 주변의 자연 경물에서 느꼈던 지취(志趣)가 구현되어 있다. 언제 돌아올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천대 일대의 풍광은 더욱 아름답게 느껴졌을 것이고, 또 오래도록 기억에 담고 싶었을 것이다. 속세에서의 모든 것을 버리고 선택한 곳이기에 자연 경물에 대한 애착이 클 수밖에 없었는데, 자천대 주변의 실제 자연 풍경에 경탄하면서 자신의 이상과 이념이 투영된, 관념화된 자연으로 자연 경물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 즉, 자연 경물을 통해 중화의 전통성이나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드러낸다거나 가을과 겨울이라는 계절적 배경 속의 자연경물을 통해 우국충정이나 위기 극복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양상이 그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천대별곡>을 관류(貫流)하고 있는 자연 공간의 의미는 속세를 벗어나 유유자적한 삶을 살고자 했던 은둔처이자 안식처라고 볼 수 있다. 속세를 떠난 작자는 때로 낚싯꾼이 되어서 고기를 낚기도 하고, 손수 나물을 캐어 먹기도 하면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갔지만, 마음은 오히려 풍요로웠다. 그와 벗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자연 경물뿐이지만 외롭지 않았다. 물론 채득기라는 인물이 속세와 완전히 떨어져 있었던 것은 아닌 것 같다. 그의 마음 속 한 구석에는 언제나 나라의 안위에 대한 걱정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걱정은 산수 자연에 은거해서 사는 삶을 통해 치유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작품 후반부에 구현되어 있는 우국충정 역시 신하로서의 직분을 다하고 자신의 은거지로 돌아오기 위한 명분으로서 의미를 지닐 뿐이다. 이는 환국 후 조정으로부터 여러 차례 환로에 나올 것을 권유받았지만, 모두 응하지 않고 학문과 풍류를 즐기는 은일적 삶을 이어나갔다는 점에서 귀향처로서의 의미도 지닐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to clarify Chae deug-gi’s literary life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literary works of his contemporaries, including the records of writings abour him, and to investigate the shape and meaning of nature embodied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The life of Chae deug-gi, who lived in a short life of 40 years, cannot be said to be smooth. Although he had better talents than others, he lost his parents early and was not able to learn until he was 15 years old. He was highly motivated to study, so he mastered astronomy, geography, and medicine, including the Book of Changes, but failed to achieve his reputation through the past. Furthermore, due to the political reality caused by the Manchu invasion, he gave up his career in government and chose to live a life of seclusion in nature, free from worldly disputes.
    Chae deug-gi moved to Jacheondae in Sangju via Seonyudong and Mujisan Mountain, where his life in hiding was closely related to his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creation. He built a pavilion Muwoojung here, enjoyed the change of scenery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s, and lived a leisurely life enjoying the music and building poetry while exploring the surrounding natural wonders. However, as he headed to Shenyang to take care of Prince Sohyeon and Prince Bongnim, he was forced to leave the Jacheondae, expressing his feelings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the author leaving for Shenyang, China, in response to the king's order, was embodied in the natural wonders of the Jacheondae, where he was his hermitage. He chose to abandon everything in the world, so he had to have a great affection for nature, but he was amazed by the real natural scenery around the Jacheondae and recognized it as an ideological nature with his ideals and ideologies.
    Most of all, however, the meaning of the natural space in which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is perfunctory could be seen as a hermitage and a resting place. The patriotism, which is embodied in the latter half of the work, is also meaningful as a justification for fulfilling his duties as a servant and returning to his hiding place. This can also be meaningful as a homecoming in that it has been recommended to appear in government posts several times after returning to Josun, but has continued to enjoy learning and elegance without responding to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