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석천 유역의 지형 발달과 지형 분류도 작성 연구 (A Study on Landform Development and Geomorphological Mapping of the Jiseokcheon Drainage Basi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5.06
16P 미리보기
지석천 유역의 지형 발달과 지형 분류도 작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리학회지 / 4권 / 1호 / 69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진관, 김종연

    초록

    지형 분류도란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지형을 분류하고 특정 지형과 구성 물질의 공간적 분포, 물질의 이동 경로, 형성 시기, 지배적인 지형 형성 영력을 지도상에 표현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환경 보존을 위한 보존 대상 지역의 선정, 재해 방지를 위한 계획의 마련, 특정 시설 건설을 위한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의 지형 분류도 작성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지류인 지석천 유역 제4기 충적지에 대한 지형 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지형 분류는 현장 답사 및 영국지질조사소(BGS)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대상 지역의 전형적 지형 체계를 파악하고, 충적지에대한 시추 자료를 참고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1:25,000 능주, 용강, 동가, 보성 도폭의 충적층의 특성을 분류하여 지도에 표시하였다. 하천 근처의 제4기 퇴적층은 하안단구, 범람원, 구하도, 자연제방, 선상지성 퇴적층, 붕적층, 인위적 지형의 7개 지형으로 분류되었다. 추후 연구에서 GPS와 GPR과 같은 장비를 활용하는 현장 조사와 퇴적층의 물리·화학적 분석, 형성 시기 파악 등과 같은 분석의 강화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 주도하에 전국적으로 해당 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Geomorphological map is the map showing the landforms classified by the geomorphic knowledg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fic forms and forming material, transporting routes of material, chronology of the forms and dominant forming processes. It has been used to designate the preservation area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to build the plan for disaster preven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social infrastructures. There is strong need for introduction of national geomorphological mapping. The map of landform classification of the quaternary alluvial deposit area of the Jiseokcheon, a tributary of Yungsan River in this study. The Landform classification scheme is developed by typical landscape system constructed based on field survey and co-work with British Geological Survey.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boring core also used to classify the landform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system, characteristics of alluvial deposit of 1:25,000 Neungju, Yonggang, Dongga, Boseong were depicted on the map. All 7 landforms at quaternary alluvial deposit area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fluvial terrace, flood plain, old(abandoned) channel, natural levee, alluvial fan, colluvium and manmade landforms. More detailed field survey using GPS and GPR,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sediment layer and age estimation of land forms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In addition this mapping program should be extended to nationwide by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