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곡교천유역 원삼국시대 원통형토기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 and Meaning of Cylindrical Potteries at the Goggyo river basi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4.02
36P 미리보기
곡교천유역 원삼국시대 원통형토기의 성격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6권 / 25 ~ 60페이지
    · 저자명 : 신민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곡교천유역 분묘를 중심으로 관찰되는 원통형토기를 분석하였다. 이 토기의 기능분석과 형식분류를 실시하여 그 외형적 성격을 밝혔으며, 공반유물의 양상과 유적의 입지를 검토하여 곡교천유역에서 이 토기를 제작·사용한 주민들의 사회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원통형토기가 형태 및 출토양상을 보았을 때 원저단경호의 받침 역할로써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철기와의 공반양상에 있어서, 특히 농공구류와 높은 빈도로 공반되는 점이 주목되었다. 이를 통해 원통형토기가 확인된 분묘의 피장자는 집단 내 농경생활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론 가능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고에서는 밖지므레유적과 진터유적의 입지와 조성 검토를 통해 원통형토기 출토 분묘의 시간에 따른 배치 양상을 검토하였다. 분묘의 배치양상과 원통형토기의 공반관계로 미루어 보았을 때, 진터유적에서 확인되지 않던 원통형토기가 우측 능선으로 내려가는 밖지므레 2-2지점과 말단 구릉인 3지점 분묘들에서 뚜렷하게 관찰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능선 이동에 따른 시간적 변화양상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원통형토기의 공반양상을 통해 명확히 살펴볼 수 있는데,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2-2지점에서는 군집 내 한 분묘에서만 원통형토기가 부장되다가 이후 시기로 추정되는 3지점의 경우에는 군집을 이루는 분묘에서 원통형토기의 비중이 높아지며 농공구류의 비중 역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 석 결과 분묘 조영집단이 농경중심 사회로 발전한다고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the Cylindrical ceramics excavated at the Goggyo River basin of Korea’s mid-western region. This pottery was first exposed to academy in 1990’s, then they appeared at Bakji-Muerae remains in Galmae-ri, Myeongam-ri of Asa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ynthesize spatio-tempora ldevelopment of them.
    In estimating Cylindrical ceramics of the region, especially at the Goggyo river basin, their distribution, character, usage, and spatio-temporal development related with the tombs were analyzed. As a result, a possibility of using the ceramics as a prop for Round-based jar with short neck could be found. Also in by reviewing the artifact assemblage of the ruins, buried person might had close relation with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that had a big role in farms.
    In addition, from examining Bakji-Muerae and Yongdu-ri Jintuh remains’ Cylindrical ceramics together,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position of the graves can show the time differences. The two groups of graves positioned in left and right on the line have the same pattern with moving to different hill when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form the graveyard. When looking at the concentration of Cylindrical ceramics, no ceramics were found from Jintuh remains and the same result came from area 2-1 of Bakji-Muerae, which may was on the same ridge. However, at area 2-2, which is in the right ridge from the top, and at area 3, which is in the bottom part of the hill, many Cylindrical ceramics were found. This can tell the difference of the time they were made. And,when looking at the earlier area 2-2, Cylindrical ceramics are concentrated in one grave and the other graves form each groups, but at the later area 3th, e quantity of Cylindrica l ceramics increase and they are buried in the groups of graves that their makers were buried. From this kind of burial aspect, a development into agriculture-centered society accompanying increase of agriculture and engineering tools canb e inferred.
    Despite its small quantity and foundings in only few ruins, we can infer that the people buried with Cylindrical ceramics were the leaders or the important members of the society which was developing into an agriculture-centered society. In addition, from this inference, the change of the Mahan society’s burial cultuer can be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