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MF 외환위기부터 삼포세대까지: 웹툰 『쌉니다 천리마마트』와 텔레비전 드라마 <쌉니다 천리마마트>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치성 (From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to the Three Giving-up (Sampo) Generation: The Politics of Crossmedia Storytelling between Webtoon and Television Drama Pegasus Market (Ssamnida cheollimamateu)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10
31P 미리보기
IMF 외환위기부터 삼포세대까지: 웹툰 『쌉니다 천리마마트』와 텔레비전 드라마 &lt;쌉니다 천리마마트&gt;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91호 / 227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주영

    초록

    김규삼의 웹툰 『쌉니다 천리마마트』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웹툰, 텔레비전 드라마, 그리고 웹드라마로 각색 및 매체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이 웹툰은 블랙코미디를 이용하여 실직, 취업, 비정규직, 임금 등 노동시장에서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다. 이 글은, 웹툰 『쌉니다 천리마마트』가 각색과 ‘크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텔레비전 드라마 <쌉니다 천리마마트>가 되면서, 서사의 변화와 텔레비전 표현 방식을 이용하여 어떻게 노동시장에서의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작자와 표현 방식의 변화가 어떻게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치성을 드러내는지 조명한다. 2010년도에 연재가 시작된 『쌉니다 천리마마트』는 작가 김규삼이 1990년대에 겪었던 IMF 외환위기 이후 실직과 비정규직을 경험하게 되었던 한국 남성 가장들에 대한 서사를 중심으로 노동의 문제를 다룬다. 반면에, 2019년에 방영된 <쌉니다 천리마마트>는 백승룡 감독과 김솔지 작가가 IMF 외환위기와 2007-2008 금융위기 이후 겪었던 2010년대의 한국 사회를 조명하며, 한국의 경제위기와 노동시장에서의 비정규직 확대로 인하여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세대’로 이야기를 확대하며 청년 취업 및 노동자들 문제에 다가간다. 한국 남성 가장들의 남성 중심 서사로 인하여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성 노동자와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문제를 <쌉니다 천리마마트>는 자막, 음악 및 공연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풀어간다. 이러한 텔레비전 드라마 <쌉니다 천리마마트>의 ‘크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은 위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궁극적으로 문화 및 드라마 산업 안에서의 문화 계층을 타파하고자 한다. <쌉니다 천리마마트>가 보여주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치성은 대중문화의 사회적 담론이라는 측면에서 웹툰 작품들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의 유효성을 방증한다.

    영어초록

    Kim Market Gyu-sam’s webtoon Pegasus (Ssamnida Cheollimamateu) has been adapted and transformed by television animation, webtoons, television drama, and web drama. This webtoon uses black comedy to deal with various issue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unemployment, non-contract employees, and wages. This article compares the webtoon Pegasus Market to the television drama Pegasus Market, focusing on its narrative and televisual changes through adaptation and crossmedia storytelling. My analysis navigates how these changes in the television drama alter the webtoon Pegasus Market’s aims and scope. This comparative investigation sheds light on the politics of crossmedia storytelling available by the producers and televisual expression. Beginning in 2010, Kim Gyu-sam’s Pegasus Market focused on the narrative of Korean male breadwinners, who experienced unemployment and non-contract employment after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Compared to this original content, the television drama Pegasus Market aired in 2019 and highlighted Korean society in the 2010s under the auspice of director Baek Seung-ryong and writer Kim Sol-ji, who experienced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during their teenagers and the 2007-2008 financial crisis during their young adult ages. The television drama, therefore, expands the scope of its original content to discuss non-contract employment among young adults. Korean young adults have been labeled as the “three giving-up” (sampo) generation because of the low employment rate, which impacted their dating and marriage lives and pregnancy rates. Furthermore, while the webtoon lacks the narratives of female non-contract workers and foreign migrant workers, the television drama uses its televisual techniques such as subtitles, music, and performative elements to highlight the issues of women and foreign migrant laborers. Ultimately, the television drama seeks to overturn cultural and industrial hierarchies through its crossmedia storytelling. The politics of crossmedia storytelling in the television drama Pegasus Market prov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rossmedia storytelling as popular culture influences social dis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