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 『天槎大觀』 추정본 고찰 (Consideration of Presumed Version,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among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Book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02
38P 미리보기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 『天槎大觀』 추정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6권 / 207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형

    초록

    본고는 최근 발견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 『天槎大觀』의 圖本으로 추정되는 도본을 고찰했다.
    登州를 경유한 明․淸 交替期 海路 使行은 21회가 확인되는데, 해로 사행록 21종과 해로 사행도 7종이 현전한다. 최근 발견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은 민속박물관 소장본 『坐觀荒紘』과 체제와 내용이 상이하다.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에서 ‘水路朝天之圖․遼東之圖․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는 해로 사행과 관련된 도본이다. 이중에서 ‘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는 『天槎大觀』도본의 臨摹本이다.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의 ‘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은 『天槎大觀』의 圖說이 충실히 반영되어서, 『天槎大觀』 도본의 임모본이 된다. 각 도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西海圖’는 『天槎大觀』‘安州牧’의 도본이다. 安州牧은 해로 사행의 출발지로, 少痊 일행의 발선지인 ‘碑寺巖’이 표현되었고, 선사포가 ‘宣沙浦’로 기록되었으며, ‘毛將營’이 묘사되었던 점을 통해서 『天槎大觀』‘安州牧’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遼海圖’는 『天槎大觀』 ‘海島’의 도본이다. 도서와 산천의 배치가 도설과 일치하고, 황성도가 ‘黃城島’로 기록된 점을 통해서 『天槎大觀』 ‘海島’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形似字의 誤記 사례가 확인되는 것을 통해서 임모의 흔적도 확인된다.
    세 번째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登州之圖’는 『天槎大觀』 ‘登州府’의 도본이다. 도본이 여타의 해로 사행도나 고지도와 구분되는 독창적인 구도이고, 『大明一統志』와 상이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少痊의 견문 내용이 포함된 점을 통해서 『天槎大觀』 登州府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n this study, a drawing presumed to be that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among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books, being found recently was considered.
    21 times of sea route envoy travel via Deungju(登州) during transition period of Myeong, Cheong was confirmed and 21 kinds of sea route travel record and 7 kinds of sea route envoy map exist at present.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being found recently is similar to that of folk museum in its system and contents. Among personally possessed versions, ‘Surojocheonjido(水路朝天之圖)․Yodongjido(遼東之圖)․Seohaedo(西海圖)․Yohaedo(遼海圖)․Deungjujido(登州之圖)’ are maps relevant to sea route envoy travel. Among these, ‘Seohaedo(西海圖)․Yohaedo(遼海圖)․Deungjujido(登州之圖)’ are manuscript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drawing.
    ‘Seohaedo(西海圖)․Yohaedo(遼海圖)․Deungjujido(登州之圖)’ of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are presumed to be manuscripts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drawing as drawing explanation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was faithfully reflected. When observing each drawing in detail, first,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Seohaedo(西海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Anjumok(安州牧)’. Anjumok(安州牧) was departing place of sea route envoy travel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Bisaam(碑寺巖)' that was starting point of Sojeon(少痊) party was expressed, Sunsapo was recorded as ‘Sunsapo(宣沙浦)’ and 'Mojangyoung(毛將營)' was depicted, it could be specifically presumed that it wa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Anjumok(安州牧)’. Second,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Yohaedo(遼海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Haedo(海島)’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arrangement of books and landscape were coincided with drawing explanation and Hwangsungdo was recorded as ‘Hwangsungdo(黃城島)’, it was specifically presumed to be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Haedo(海島)’. As erroneous record of shape similar character was confirmed, trace of copy could be confirmed as well.
    Third,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Deungjujido(登州之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specifically presumed to be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槎大觀』) ‘Deungjubu(登州府)’ in view of the fact that drawing was a creative structure being discriminated from other sea route envoy map or old map and it used a name different from Daemyeongiltongji(『大明一統志』)and travel record of Sojeon(少痊) was inclu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