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자의 도덕철학에서 天의 의미와 역할 (The Meaning and Role of Nature (tian, 天) in Xunzi's Moral Philosoph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2.02
24P 미리보기
순자의 도덕철학에서 天의 의미와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22호 / 233 ~ 256페이지
    · 저자명 : 정재현

    초록

    이 논문은 순자의 도덕철학에 있어서의 天의 의미와 역할을 보이려고 한다. 순자는 性爲, 天人을 분리함으로써 유가의 도덕철학에 자연천의 개념을 끌어들였고, 도덕적 가치는 그런 자연이 아니라 인위에 속해 있다고 말하여져 왔다. 이런 점에서 禮는 도덕적 가치의 전형의 역할을 한다. 남경희는 여기서 세계와 사유에 대한 언어의 존재론적 우선성을 이끌어낸다. 그는 언어를 원규범으로 인지한다. 남경희의 관점에서 자연은 순자의 도덕철학에서 아무런 역할을 못한다. 몇 몇 반례를 제기함으로써 이런 입장의 극단성을 비판하기는 쉽지만, 자연과 인위에 대한 순자의 입장에 대한 체계적 대안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로버트 이노처럼 문제가 되는 다양한 측면을 단지 열거하는 것으로는 체계적 이해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체계적 이해는 다양한 충돌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임으로써 가능하다. 나의 대안적 해석은 충돌적 요소들을 유지하면서도 그것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보여주는 방식을 취할 것이다. 자연적 천의 개념이 기본적이기에, 순자의 자연 개념이 가지는 규범적 힘은 그것을 무시하지 않는 방향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규범성은 천인의 구분을 없애는 데서 나오지 않고, 그 구분을 분명히 하는 노력으로부터 나온다. 달리 말하면, 규범적 차원은 메타적 차원에 속한다. 우리가 대상적 차원에 주의를 기울이는 한, 우리는 규범성을 발견할 수 없다. 규범성은 우리가 그것이 사실이다 혹은 아니다라고 말하는 평가적 단계에서 출현한다. 순자의 규범적 지식을 설명하기 위해 메타적 지식이외에, 방법적 지식을 끌어들일 수도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meaning and role of nature (tian, 天) in Xunzi's moral philosophy. It has been said that Xunzi introduced the conception of nature as Nature in Confucian moral philosophy by distinguishing inborn nature (xing, 性) from human effort (wei, 爲) or nature (tian, 天) from human being (ren, 人) and claimed that inborn nature did not contain any moral worth for which only human effort accounted. Li (禮, rituals), in this perspective, plays the role of epitome of such moral value. From this, Nam Kyung Hee draws the ontological priority of language over world or thought. So Nam conceives language as ultra norms. In Nam’s perspective, inborn nature has no place in Xunzi’s moral philosophy. Although it is easy to criticize the extremity of Nam’s position by showing some counter examples, it is not easy to suggest another systematic alternative reading of Xunzi’s position over inborn nature and over human effort. This is because just enumeration of diverse aspects of something at issue, as Robert Eno does, does not naturally lead us into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it. Systematic reading is made by showing how diverse or conflicting aspects are interrelated. My alternative interpretations go in the way of show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ing aspects while maintaining them. Since the conception of inborn nature (descriptive meaning) is a basic one, any normative force that Xunzi’s inborn nature is supposed to have should be explained without neglecting it. Normativity comes out of such effort of keeping the distinction, not out of that of blurring it. In other words, the normative dimension belongs to meta-level. As long as we pay attention to the objective-level, that is, facts, we can’t find any normativity in them. Normativity appears as soon as we evaluate by saying that it is a fact or it is not. Besides this meta-knowledge, we can introduce knowing-how to explain Xunzi's normative knowledge (zhitian, 知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