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학습자의 경력탐색 측면에서의 근거리학습지원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미 (Meaning of participation in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of the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in terms of career exploration of Adult learner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03
20P 미리보기
성인 학습자의 경력탐색 측면에서의 근거리학습지원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2권 / 1호 / 183 ~ 202페이지
    · 저자명 : 문주영, 현은령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의 근거리학습지원처인 동네배움터 사업을 중심으로 기존의 정량적으로 수치화되었던 성인 학습자의 참여 의미를 정성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이 향후 그들의 경력전환에 어떠한 의미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로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현황과 의미를 살펴보고, 문화 기술지 기법으로 해당 교육과정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 3명과 동네배움터 운영자 및 평생 교육사 등 이해관계자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그 결과,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2개의 중위 범주, 2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며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었다. 첫째, 근거리학습지원처인 동네배움터를 통해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들은 배움에 대한 욕구가 크고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으며 평생학습을 삶의 일부로 생각하였다. 또한 동네배움터 교육과정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로 배움의 영역을 확장하여 현직과 연계하는 방법을 찾아보면서 향후 주체적으로 살아갈 자신의 삶을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성인 학습자들이 참여한 문화예술 분야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경력탐색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에서 장애 요인으로 인식되었던 비용, 시간, 거리 등의 문제를근거리학습지원처인 동네배움터에서 해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편, 동네배움터의 핵심과제인 학습실천 프로젝트의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므로“지역사회형 문화예술 동네배움터 CoP”를 도입하여 문화예술 분야 학습공동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문제를 문화예술로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meaning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which was previously quantitatively quantified, with a focus on the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project, a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of the Seou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so that the ex- 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can be used in their future careers. The goal is to find out what meaning and impact it has on conversion. To this end, we examined the status and meaning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and two stake- holders, including a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operator and a lifelong educator, using the cultural de- scription technique. As a result, a total of 4 high-level categories, 12 middle-level categories, and 23 low-level categories were derived and could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through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had a great desire for learning,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considered lifelong learning as a part of life. In ad- dition, through the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curriculum, they expanded their scope of learn- ing into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and looked for ways to link it with their current jobs, showing that they looked forward to living their lives independently in the future. Seco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n which adult learners participate can function as career exploration, and problems such as cost, time, and distance, which were recognized as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can be resolved through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which are local learning support centers.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resolved. Meanwhile, sinc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learning practice project, which is the core task of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the “Community-type Culture and Arts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CoP” was introduced to im- 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and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culture and arts through a learn- ing communit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 hope we can solve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