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에 대한 행정학적 접근: 주요 기능과 상호 긴장 관계를 중심으로 (Proactive Problem-Solving Process in Government and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2.06
33P 미리보기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에 대한 행정학적 접근: 주요 기능과 상호 긴장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연구 / 31권 / 2호 / 61 ~ 93페이지
    · 저자명 : 김향미, 박나라

    초록

    본 연구는 정부 전체 차원에서 전문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법제처 법령해석제도가 행정국가화 현상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행정학적 의의를 삼권분립의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의 기능을 법령의 해석, 행정부 내부적인 자기통제, 사전적 권리구제, 사전적 갈등 조정, 기존 법령의 정비 및 국민 입법 참여 독려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David H. Rosenbloom(1983)의 프레임웍을 적용할 때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기능 간에 긴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에 기반하여 법령해석 회신문 자료(2005~2020년)를 분석한 결과, 현재 운영상에서는 기능 간의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관리적 관점의 기능이 보다 중시되는 제도적 특성과 법제처가 지닌 자율성으로 인해 기능 간에 내재된 긴장이 점차 실제 표출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대의민주제의 삼권분립원칙 하에서 행정이 정치, 사법과 융합되는 지점을 조명함으로써 국가 통치 작용의 본질적 속성에 대해 논의한 데 가장 큰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statutory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f Korea (MGLK) represents a critical aspect of the phenomenon of the administrative state by offering professional opinions at the government-wide level. To be more specific, we examine the institution through a public administration approach based on the separation of powers principle. Firstly, we categorize its functions into five categories: 1) statutory interpretation, 2) checks and balances within the administrative branch, 3) ex-ante protection of civil rights, 4) proactive conflict resolution, and 5) improvement of existing laws and encourag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in legislative processes. Using David H. Rosenbloom’s framework (1983), we review all of the response letters from the MGLK (2005–2020).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currently no significant conflict among the five primary functions, but the tension might be manifested due to the autonomy and managerial attributes of the MGLK.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key areas in which administration interacts with politics and law under the separation of powers principl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helps to illuminate the fundamental nature of state gover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