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연합 전기전자장비폐기물처리지침에 관한 고찰: 스웨덴 Elretur 시스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U’s Directive of 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he Swedish Elretur Syste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8
26P 미리보기
유럽연합 전기전자장비폐기물처리지침에 관한 고찰: 스웨덴 Elretur 시스템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럽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연구 / 41권 / 3호 / 235 ~ 260페이지
    · 저자명 : 정혁

    초록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연합 역내 산업 분야에 전기전자장비폐기물의 재활용, 재사용 및 재생이라는 자원의 선순환적 사용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자원순환경제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기전자장비폐기물 지침을 마련하고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강조하고 있다. 스웨덴은 이 지침을 반영하여 ‘전기전자장비폐기물규정’을 제정, 시행하고 있으며, 규정의 요구에 맞추어 Elretur 라고 하는 전기전자장비폐기물들의 회수, 수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El-Kretsen이라는 생산자 책임기관이 주가 되고 있는 스웨덴의 Elretur 시스템은 스웨덴 내 전기전자장비폐기물의 자원순환경제로의 기여와 관련한 시민 인식 부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폐기물 수거와 분리 현장에서의 폐기물 품목 별 범주 구분과 식별 방법과 관련한 지역 정부 차원의 홍보 방향이 하나의 접근으로 보인다. 둘째, 가정용 배출 전기전자장비폐기물들의 최종사용자가 폐기하는 재사용 가능한 전기전자장비들의 구매 및 거래를 위한 공식적인 중고 거래 시장이 부재하므로 생산자 참여 기관들이 수거하는 전기전자장비들의 거래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래 시장의 조성과 관련된 지역 정부 차원의 법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시스템 내에서 크게 나누어진 현재의 전기전자장비 폐기물들의 품목 별 분류군을 조금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수거 되는 전기전자장비 폐기물 군들을 세분화하면서 재활용, 재사용 및 재생이라는 자원순환과정에 좀 더 가속화된 수월성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정부도 유럽연합의 전기전자장비폐기물처리지침을 참고하여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적용하면서 2008년부터 환경성보장제, 2017년 1월부터는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해오고 있다. 이 두 법은 전문적으로 폐전기전자제품을 재활용하는 사업장들의 증가를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그 외에도 한국의 지역 정부들은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전기전자장비폐기물들의 재활용 시장에서의 일반 시민들의 구매 및 거래 증가를 위한 공식적인 전기전자장비폐기물들의 거래 시장을 법적인 기반 마련 후 조성,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European Commission is presenting a direction for Resource Circular Economy through a virtuous circle of recycling and reuse of 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over the whole industry within the EU. The EC has laid out Directive of 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s part of the efforts stressing th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The Swedish government has transposed the Directive and enacted the Regula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he Swedish 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Regulation-SFS 2014:1075) and established a system called ‘Elretur’, a collection and return system of WEEE.
    But, the system in which El-Kretsen plays a major role as the primary Producer Responsibility Organization, has a challenge of lack of awareness of citizens associated with contribution of the WEEE to Resource Circular Economy. As an approach to the issue, promotions regarding method of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ategories by items of the waste at municipal level in the field of the collection and separation of the waste, should be discussed. And as the Elretur system doesn’t have the official second-hand market where the WEEE from households are to be purchased and transacted, the legal efforts at the municipal level in establishing the market may as well be required so that the WEEE collected by the participating Producer Responsibility Organizations are dealt in the system. And lastly, the classification of WEEE, which is largely divided at present, should be more categorized by item. It should give the resource circulation process more accelerated easiness by fractionizing the collected WEE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Eco-Assurance System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Vehicles)’ since 2008, and ‘Basic Law of Resource Circulation’ since January 2017 after referring to the EU Directive of 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applying the Expanded Producer Responsibility. While these two laws are promot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that recycle the WEEE for business,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law regarding the set-up of the official second-hand market where the citizens purchase and transact the WEEE collected from households and run the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