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정기 귀속농지 처리와 중앙토지행정처 (The National Land Administration : An American Approach on Land Reform in South Korea, 1946-1948)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1.11
40P 미리보기
미군정기 귀속농지 처리와 중앙토지행정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3호 / 233 ~ 272페이지
    · 저자명 : 류일환

    초록

    미군정은 한국에서 농지개혁의 첫 단계로 귀속농지 매각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농지분배 뿐 아니라 금융지원과 경영지도까지 겸하는 전담기구를 만들려 하였다. 농업금융과 농촌지도에 관한 제도와 계획이 수립되기 전에라도, 농지분배 ‘후속조치’로서의 이러한 기능에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농지개혁 추진조직이 이를 맡아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었다.
    1946년 번스안에는 금융조합이 운영기관으로서 매각된 귀속농지에 대한 관리⋅감독을 맡는다는 구상이 있었다. 1947년 과도입법의원 토지개혁 논의에서 미군정은 한미간 채널을 통해 토지행정기구 구상을 관철하려 하였다. 금융지원과 경영지도까지 맡을 독립적인 전담행정기구가 토지개혁 전반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과도입법의원 산업노농위 측의 생각은 달랐고, 그래서 양측의 입장은 엎치락뒤치락하는 조정 과정을 거쳤다. 그 절충의 결과가 과도입법의원에 제출된 토지개혁법안이었다. 하지만 이 법안은 결국 유산되었고, 1948년 3월 미군정은 그들의 원래 의도를 그대로 담은 법령 173호를 공포하여 중앙토지행정처를 설치하고 귀속농지를 처리하였다.
    중앙토지행정처는 미국 농업안정국(FSA)을 모델로 한 조직이었다. FSA는 뉴딜정책 시기 만들어진 기구로, 소작인 농지 구매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FSA의 이 프로그램은 기존 농업금융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소작인들을 위해 설계된 제도였고, 영농⋅가계 계획에 대한 지도⋅감독과 금융지원을 결합하는 것이 그 특징이었다. 미군정은 귀속농지 처리에서뿐만 아니라 정부 수립 후 농지개혁에서도 행정처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를 희망하였다. 그런데 이를 위해 그들이 취한 방법은 신한공사를 중앙토지행정처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후예인 신한공사는 이러한 구상에 참여하면서 존립을 도모해 나갔다.

    영어초록

    The U. 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carried out the sale of vested farmland as the first step in land reform in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is, they emphasized the role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at would take charge of not only farmland distribution but also ‘follow-up measures’ such as credit services and management guidance. They believed that thi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hould perform these functions in order to prevent farmers from becoming tenant again, even before the agricultural credit and rural extension system was established.
    The ‘Bunce Plan’ of 1946 included the idea that the Federation of Financial Associations(FFA) would take charge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sold farmland as an administering agency. In 1947, when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SKILA) discussed land reform, the US side tried to carry out their plan to create an l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rough the Korea-US Liaison Committee. They thought that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at would provide credit services and management guidance during the repayment period should take charge of the land reform program. But, the SKILA committee took the position that it was not necessary to grant these functions to the l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y also had a plan to separately enact legislation for agricultural cooperatives. The land reform bill submitted to the plenary session of the SKILA was the result of a compromise between these two positions. However, this bill was eventually aborted, and the USAMGIK promulgated Ordinance No. 173, which reflects their original intentions, established the National Land Administration(NLA) and carried out the sale of vested farmland.
    The NLA was modeled after the US Farm Security Administration(FSA). The FSA was a New Deal agency created in 1937 and operated the tenant purchase program. It was characteristic of this program to combine farm purchase loans with guidance and supervision of government agent. The USAMGIK was planning to convert the New Korea Company(NKC) to create the NLA, and to perform these functions not only in the sale of vested farmland but also in land refor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NKC, the successor of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took part in this plan and prepared a way to maintain its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