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기본법 제정 의미와 법정책적 과제 (The Meaning of the Framework Act on Youth and Legal Policy Issue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2.03
18P 미리보기
청년기본법 제정 의미와 법정책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2권 / 1호 / 143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종세

    초록

    어떤 국가이든지 그 나라의 미래는 청년임을 부정할 수 없다. 그간의 청년에 대한 정책적 법제도적 노력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결실을 보지 못 했지만, 꾸준히 청년을 위한 국가의 노력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간의 노력이 우선 2000년 초반 국내 산업 제조업체의 해외이전으로 인한 산업공동화 현상과 고학력으로 인한 고급인력의 3D업종 등 젊은 청년들의 취업기피 현상이 만연해 있으며, 당시 2000년대 대졸자가 주로 취업하기를 원하는 흔히 괜찮은 일자리는 32만 6천개나 감소하는 등 우리나라 젊은 청년실업이 전체 실업자 수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국부창출의 기본인 젊은 청년들이 실업으로 인하여 고학력 고급인력이 낭비되고 있고, 청년들의 경제활동에 저조한 참여로 한국 경제 성장의 중대한 장애 요인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국가는 청년근로자의 취업기회와 잠재능력을 제고하여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지역 사회안정에 기여하고자 청년실업해소특별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대표 발의로 이강두 의원이 2003년 9월 22일에 청년실업해소특별법안을 제정 발의하여 같은 해 9월 23일 환경노동위원회에 회부되어 2004년 3월 5일에 제정되어 동년 6월 6일 시행되었으며, 이후 2009년 10월 동 법률이 청년고용촉진특별법으로 개정되어 지금까지 시행되어 왔다. 청년실업해소특별법이 제정된 이래로 약 16년간의 청년문제는 해를 거듭하며 더욱 심화되어 그야말로 청년일자리 정책만으로는 풀어가기 어려운 사회적 쟁점이 되었다. 2020년 1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하여 제정된 청년기본법은 청년문제에 대한 우리나라 모든 국민의 사회의 인식과 미래 청년정책의 틀을 전환시킬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본 연구논문에서는 중앙과 지방의 상호보완적 역할분담, 연계성 중심의 제도개편, 청년정책 전달체계 강화 등 다양한 정책적 과제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No country can deny that its future is youth. Although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bear fruit despite its many policy and legal efforts against young people, it cannot deny the state's efforts for young people. In the early 2000s, young people's job losses, including industrial hollowing out due to the relocation of local industrial manufacturers and high-end 3D industries, are rampant, and the number of jobs that college graduates usually want to get jobs in the 2000s fell by 326,000 at the time, with the nation's youth unemployment accounting for half of the total number of unemployed. As a result, the government intended to enact the Special Act on the Elimination of Youth Unemploym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stability by enhancing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potential of young workers, as young people, who are the basis for creating national wealth, are wasting high-quality manpower due to unemployment and young people's low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re feared to be a significant obstacle to economic growth in Korea. As a representative, Lee Kang-doo proposed the Special Act on the Elimination of Youth Unemployment on September 22, 2003 and was referred to the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on September 23, 2004, which was enacted on March 5, 2004, and implemented on June 6, 2004. Since then, the Act has been revised to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Youth Employment in October 2009, and has been in effect so far. Since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Elimination of Youth Unemployment, the youth problem has deepened over the years, making it a social issue that is simply difficult to solve with the youth job policy alone The Framework Act on Youth, which was pass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January 9, 2020, is expected to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changing the society's perception of youth issues and the framework of future youth policies. Most important of all, this research paper is meaningful in examining various policy tasks such as the sharing of complementary rol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eorganization of the linkage-oriented system,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youth policy deliver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