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와 실학 (The development of Farm encouragement policy and Silhak(實學) in late Joseon Dynast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3.03
45P 미리보기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와 실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9호 / 187 ~ 231페이지
    · 저자명 : 최윤오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를 정부지배층의 전통적인 방식과 실학자들의 개혁적인 방식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는 완만하게나마 장기 지속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에 후자는 대단히 현실적이며 개혁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극단적으로 대비되어 나타났다.
    우선 정부층의 권농정책은 제천의례와 농경의례를 통해 조선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 같은 농경의례는 조선후기 세계관이 변화함에 따라 조선국가 중심의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되고 있었다. 영조와 정조대의 친경의례는 기왕의 형식적인 제례를 벗어나 농업현장에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바뀌어 나갔고, 정조는 남단[풍우뇌우단]의 의례를 곧 세조대 시행했던 환구단의 제천의례로까지 생각하고 있던 것이 대표적 사례였다. 비록 환구단 의례가 천자만이 지낼 수 있는 의례라는 이유로 축소되었지만, 그것을 농경의례로 분화시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시키고 있었다.
    한편, 실학적 지식인들의 권농대책은 근본적으로는 토지개혁을 지향하고 있었다. 따라서 주자권농문에 표현된 지주제 중심의 권농책과 다른 현실 개혁적인 논의로 나타났다.
    반계의 경우 적전(籍田) 친경(親耕)을 간소화시키는 가운데 정전제를 응용하였고, 특히 진전(陳田) 개간이나 수리(水利) 시설 확보를 권농정책의 요체로 삼았다. 다산의 경우는 목민관이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개혁적인 발상을 제시하고, 나아가 농민이 부유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牧民心書』에서는 현재 시행할 수 있는 개간문제나 농기구, 농우(農牛)를 활용하는 문제 외에도, 앞으로 정전제도가 시행된 후 시행할 문제도 같이 언급하고 있었다.
    양자의 권농 대책은 극단적인 방안이었지만 상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영조나 정조의 경우 반계의『磻溪隨錄』을 다시 간행하도록 한 것은 실학자들의 권농책에 대해서도 국왕들이 참조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勸農策)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way of the ruling hierarchy and the reformed way of the ‘Silhak scholars(實學者).’ The latter showed the practical and reformative attributes while the former showed the slow and long term changes. It was the extreme contrast.
    First,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ruling hierarchy was proceeded in the Joseon’s way through the ‘rites to the heavens(祭天儀禮)’ and ‘agricultural ritual(勸農儀禮).’ Especially, ‘Sinocentrism(中華主義)’ becoming crack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rituals were also nationally emphasized and conducted more autonomously. For instance, in the reign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ritual of Royal plowing(親耕儀禮)’ which had been conducted perfunctorily was changed practically by the King’s plowing real land. Furthermore, King Jeongjo elevated the position of the ritual of ‘Nam-dan(南壇)’ and ‘Pungu-Noewu-dan(風雨雷雨壇)’ to ‘Hwangu-dan(圜丘壇)’ in the reign of King Sejo(世祖). Finally it could not help being diminished, as the ritual must be conducted only by the emperor. However, it was changing to the autonomous ritual as it was classified and emphasized as the ‘agricultural ritual.’ Secondly, ‘Silhak scholars’ propos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that aimed the reformation of landlordism. It was the actual reformative discuss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olicy of ‘Zhu Xi(朱熹)’ that had been based on the landlordism. For instance, Ban-gye Yu Hyoung-won(磻溪 柳馨遠) made a application of Jeong-jeon system(井田制) by simplifying ‘the ritual of Royal plowing(籍田親耕)’. Especially, he regarded cultiv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s the key points of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For another example, Da-san Jeong Yak-yong(茶山丁若鏞) proposed the reformative thought that the governors(牧民官) were existing just for the peasants. Futhermore, he suggested the way the peasants could be wealthy. Especially, in Mok-min Sim-seo(牧民心書), the book he wrote, he spoke about not only the present problems in cultivation, farming tools, and farming cattle but also the future problems after the Jeong-jeon system implemented.
    Although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of the both sides were extremely different, they seemed to have mutual interactions. The fact that King Yeongjo and Jeongjo in 18th century republished Ban-gye su-rok(磻溪 隧錄), written by Ban-gye Yu Hyoung-won, means that the kings of the dynasty also referr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Silhak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