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물굿 채굿 가락의 형성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 of Making-Music of the Chaegut (“Stroke Music”) in Farmers’ Band Music)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9.08
32P 미리보기
풍물굿 채굿 가락의 형성원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9호 / 669 ~ 700페이지
    · 저자명 : 이용식

    초록

    풍물굿은 신성한 종교의식이고, 이는 인간이 절대적인 존재에게 바치는 신성한 행사이다. 종교의식에는 공동체 집단의식으로서 제의적인 행동이 수반되고, 음악은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제의적 요소이다. 즉, 종교와 종교의식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풍물굿 가락은 풍물굿의 종교성과 신성성을 소리로 구현하는 종교적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풍물굿 가락은 인간의 제의성을 발현하는 음악적 상징을 갖기도 한다. 풍물굿의 채굿은 한 가락에 쳐지는 징의 점수에 따라 가락 이름을 부여한다. 즉, 가락 이름이라는 기표(記標)와 가락이라는 기의(記意)를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음악적 기호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가락이다. 이글에서는 채굿의 형성원리를 규명하여 채굿의 제의적 상징성을 밝히고자 한다.
    채굿은 삼채~칠채가 기본이다. 그 원리는 조선시대 군사 훈련의 기본진법인 오방진법(五方陳法)의 ‘고진금퇴가(鼓進金退歌)’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조선 초기 간행된 각종 병서에서 진법의 기본원리가 된 오방진법은 북과 징의 ‘오타(五打)’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북과 징의 ‘오타’ 원리는 진법 계획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오타’의 구조원리가 채굿 형성의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채굿의 원형”으로 꼽히는 곡성죽동농악의 삼채~칠채는 기본형인 삼채 가락에 3소박 2장단 가락이 하나씩 더해지면서 다섯 개의 가락인 사채~칠채 가락을 만든다. 삼채 가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3소박 4박 장단에 징을 제1, 2, 3박에 3점 치는 가락이다. 삼채 가락은 징을 3점 쳐서 ‘리듬적 요란함(rhythmic noise)’을 통한 규정된 일탈을 통해 제의성을 담지한 가락이다. 그리고, 징 3점에 따라 이름을 붙여서 ‘삼채’라는 기표와 삼채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는 상징성을 갖게 된다. 징 3점의 ‘삼채’ 가락을 기본으로 3소박 2박씩 징이 1점 들어가는 가락을 더해서 사채~칠채 가락이 완성된다. 즉, 삼채~칠채 가락은 오방진법의 ‘오타’ 구조원리가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 오래되고 제의성을 담보한 혼소박 4박의 일채 가락이 더해지고, 일채와 삼채 가락의 다리 역할을 위하여 징을 2점 치는 이채 가락이 더해진다. 이것이 채굿의 형성원리이다.
    오채질굿은 징 5점의 ‘오채’와 제의적 가락인 ‘질굿(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오채질굿은 5장단으로 구성된 가락으로서, 각 장단의 매 첫 박에 징 1점이 들어가는 가락이다. 이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콜로토믹(colotomic) 음악형식의 반영으로서, 조선 초기 각종 음악에서 나타나는 ‘고요편쌍(鼓搖鞭雙)’ 장구형의 흔적이기도 하다. 길군악칠채도 징 7점의 ‘칠채’와 제의적 가락인 ‘길군악(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길군악칠채는 3장 형식으로서 경기 지역의 평시조 및 <노랫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공유한다.
    결국 채굿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락이다. 채굿은 징점에 의한 가락의 이름이라는 기표와 음악적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게 만들어진 가락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종교적 제의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고도의 음악만들기(music-making)의 원리로 만든 가락이다.

    영어초록

    Farmers’ band music is a religious ritual in Korea. It is a solemn ritual to exhibit the auspicious holiness of the people to the God. Most of the ritual is accomplished by music. The music of the farmers’ band, in this sense, has its meaning as the expression of holiness by sound.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principle to make various rhythms of farmers’ band music,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egut (lit. “stroke music”). It is very symbolic because the name of the music shows the strokes of the gong, called jing, in a rhythmic phrase. In this sense, the chaegut is man-made music based on the specific principles in accordance with the strokes of the gong.
    Among many chaegut rhythms, samchae (lit. “three strokes”) to chilchae (lit. “seven strokes”) are the main rhythms. They were made after the principle of ‘forward with drums, backward with gongs’ in Five way procession. It the basic principle of military processio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rocession follows with the sound of the drums and gongs. There was always a principle of “five strokes” to control the procession. The “five strokes” became the basis of the making of chaegut rhythms.
    The rhythms of the samchae to chilchae are based on the rhythm of samchae. The samchae has three gong strokes in a cycle, which exhibits the chaotic moment with the rhythmic noise. The name of the rhythm exhibits the correspondence of the signifiant, that is the name “three strokes” and the signifié, that is the real three strokes of gongs in music. Other four rhythms has made up from the samchae with half cycles are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strokes of the gongs. In this way, the chaegut shows the principle of “five strokes” in the military procession.
    The rhythm of ochae jilgut is a mixture of ochae (lit. “five strokes”) and jilgut (lit. “road music”) which is usually performed on the road to a mountain shrine. The musical structure of ochae jilgut corresponds to the colotomic structure of Southeast Asian music and the 15th-century music of old musical scores. The rhythm of gilgunak chilchae is a mixture of gilgunak (lit. “road military music”) and chilchae (lit. “seven strokes”). The rhythmic structure is similar to other regional music, sijo (“short song”) of the literati music and norae garak (lit. “some melody”) of the shaman music.
    In sum, the chaegut is very artistic music made from the military process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rhythm corresponds with the strokes of the gong in a cycle. In this way, the chaegut shows the principle of music-making to exhibit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