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인식의 확대와 창의 산업의 대응에 관한 고찰; 기존 산업과의 관계와 산업 전략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Expansion of Design Awareness and the Response of Creative Industries ; In view of the relationship with existing industries and industrial strateg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7.09
10P 미리보기
디자인 인식의 확대와 창의 산업의 대응에 관한 고찰; 기존 산업과의 관계와 산업 전략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디자인학연구 / 11권 / 3호 / 59 ~ 68페이지
    · 저자명 : 남원석

    초록

    흔히 4차 산업 혁명이라 일컬어지는 AI, IoT 및 로봇으로 대표되는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논의와 신흥국 등의 노동력의 고도화로 인해 제조업 및 기반 산업에 의해 견인되어 온 한국의 국가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고 있으며, 매우 평준화된 상품 및 서비스를 통해 물질적인 욕구가 충족됨과 동시에 사회 구조도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도 다양화 및 심층화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등, 척박한 사업 환경에서 기업은 사용자가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탐구하고 개념을 설계하여 최적의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철저하게 정제해 나가야하는 상황에 있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차이‘를 창출하는 능력 중 하나인 ’창의성‘에 대한 중요성이 보다 증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이 새로이 대두될 신사업에 대한 대응에 더불어 기존의 한국 경제를 견인하던 제조업 및 기반산업에 대한 전략 재고를 통해 선택 및 집중에 의한 전략 수립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에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창의 산업의 범위 및 역할을 협의의 디자인과 광의의 디자인의 관점에서 정의하고, 사회 및 경제 대응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 산업을 분류하여 이들 산업군의 각각의 전략적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관점을 통해 기존 산업의 전략적 방향성에 있어 앞서 정의한 창의 산업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창의 산업과의 연계에서 소외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기존의 분야에 대해 전략적으로 창의 산업과의 접목을 도모하는 것이 새로운 산업변화에 대응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이에 창의 산업계는 기존의 산업 영역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 대응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협의 및 광의의 디자인이 적용될 활동의 장을 확대해나가야 함을 과제로서 인식하는 것이 주요하다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ncern about the weakening of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has been driven by manufacturing and infrastructure industries as a result of discussions about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represented by AI, IOT, and robots,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bout the advancement of labor in emerging countries. Materialized needs are met through highly leveled products and services at the same time that the social structure is becoming more complex. Consequently, users' needs are becoming diversified and specific. In an oppressive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explore the inherent value of users and design concepts thoroughly to provide optimal products and services.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which is the ability to create “differences” that cannot be replaced by others for this purpose,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ddition to responding to the new business that is newly emerging,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are based on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the strategic inventories of manufacturing and infrastructure industries that have driven the Korean economy; their role in terms of design, specifically the broad design of consultation; to classify industries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for social and economic responses; and to examine the strategic direction of each of these industries. Additionally, through this perspective, we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with the creative industries that are defined in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existing industry. Consequently, we can strategically integrate with the creative industry in the existing fields that are relatively isolated from the linkage with creative industrie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lan will be a way to respond to new industry changes. Therefore, the creative industry is not in a position to rest in the existing industrial area, but rather is in a time for expanding the scope of the subject to which consultation and broad design will be actively applied while preparing concrete counter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산업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