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과 윤동주 시의 장소 비교 -일본에서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depiction of places in Jeong Ji-yong and Yun Dong-ju’s poems - Focusing on poems written in Japa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1.10
32P 미리보기
정지용과 윤동주 시의 장소 비교 -일본에서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2호 / 367 ~ 398페이지
    · 저자명 : 심재휘

    초록

    유학생 시절에 정지용은 교토에서 윤동주는 도쿄에서 시를 썼다. 이 글은 지용과 동주의 유학 시절의 시에 나타나는 장소를 비교하였다. 특히, 제국의 근대도시이자 대도시가 식민지 유학생의 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 두 시인의 위상을 다시 한 번 검토하였다. 시 쓰기의 양상은 시인마다 다르지만 동일한 장소 체험을 기준으로 두 시인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이라 생각했다.
    우선, 문학관을 비교했다. 산문에 노정된 생각을 추출하여 ‘타자에 대한 감수성’을 살폈다. 지용의 경우, 타자에 대한 감수성은 강하지 않았다. 타자는 개인의 사유와 느낌을 형상화하는 통로의 역할을 했다. 특히, 그는 교양의 힘을 중시했고 그 결과로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했다. 반면, 동주는 신앙인으로서의 윤리를 중시했다. 공동체나 타자에 대한 감수성이 강할 수밖에 없었고 신념과 실천의 불일치로 인해 갈등이 심했다.
    이러한 문학관은 유학시절의 시에도 공히 적용되었다. 장소 체험의 시적 투사로서 우선 ‘도시’를 살폈다. 정지용의 「황마차」와 윤동주의 「흐르는 거리」를 중심으로 교토와 도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시인 내면을 도해하는 장소로서 ‘방’을 분석하였다. 지용의 「자류」와 동주의 「쉽게 씌여진 시」를 중심으로 일본에서의 하숙방이 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하였다.
    지용의 낭만적 우수는 객수 혹은 객고의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그는 이 ‘나그네’ 의식을 당대의 현실 문제로 확장하지 않고 서정시의 보편적 정서에 한정했다. 그리고 놀라운 표현으로 시화하는 데 애썼다. 동주의 도쿄 시는 도일 전의 시에 비해 형상력이 늘었다. 이전과 달리, 그는 장소 체험을 구체적으로 시에 명시할 정도로 강한 현실 인식을 보여주었다. 그동안의 시가 강한 표상성을 지닌 것에 비하면 중요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유사한 유학체험을 공유하는 두 시인이었지만 장소를 취재하고 장소를 형상화하는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었던 소이를 살폈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시인의 위상을 새로운 방법으로 정립해 본 글이다.

    영어초록

    While studying abroad, Jung Ji-yong wrote poetry in Kyoto and Yun Dong-ju wrote in Tokyo. This article compares the depiction of places in the poems of Ji-yong and Dong-ju. In particular, the status of the two poets is reviewed once again by examining how the modern city and metropolis of the empire was depicted in the poems of the colonial students. I believe it is a new approach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poets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the same place.
    First, we compare the literary recognition they have received. The aspect of 'sensitivity to others' is investigated by extracting opinions laid out in prose. In the case of Ji-yong, he emphasized the power of culture and had a strong egocentric way of thinking. On the other hand, Dong-ju emphasized ethics as a Christian. He had to have strong sensibility to the community and others, and the conflict between beliefs and responsibilities to practice was inconsistent.
    This opinion was also applied to the poetry. For place experience, I first looked at the 'cit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how Kyoto and Tokyo were utilized, focusing on Ji-yong's 'Carriage ' and Dong-ju's 'Flowing Street'. I analyzed 'Bang' as an inner diagram of the poet, and focused on Ji-yong's 'Pomegranate' and Dong-ju's 'Easily Written Poetry'.
    Numerous poems by Ji-yong express romantic emotions and he tried to poetize the universal emotion of lyric poetry with surprising expressions, without exten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traveler' to the real problems of the time. The poetic power of Dong-ju's poetry is stronger in the poems he wrote after arriving in Japan. Unlike his previous works, his poems written in Japan revealed a strong sense of reality in his description of his place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important change from the poetry that had strong representation in the past. This means that the strength of beliefs has changed.
    The difference perspectives people have towards the world and towards literature is directly related to poetry writing.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although two poets received similar education and had similar experiences of staying abroad, their portrayal of the places they lived in was quite different.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stablishes the status of the two poets in a new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