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淵 金昌翕의『史記』 비평 양상 연구: 「漫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iticism of Shiji by Kim Chang-heup : Focusing on “Manrok”)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04
43P 미리보기
三淵 金昌翕의『史記』 비평 양상 연구: 「漫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4호 / 97 ~ 139페이지
    · 저자명 : 오찬미

    초록

    본고는 三淵 金昌翕(1653~1722)의 『三淵集』 「漫錄」 소재 『史記』 비평의 특징적 양상과 의의를 규명함으로써, 김창흡이 조선의 『사기』 수용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창흡은 『사기』의 열독과 선집 편찬이 유행하던 17·18세기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사기』를 숙독하였고, 「伯夷傳」·「貨殖傳」·「遊俠傳」·「信陵君傳」·「荊軻傳」·「項羽本紀」·「范睢傳」 총 7편에 대한 비평을 수행한 결과가 「만록」 가운데 수록되어 있다. 이는 조선에서 『사기』 텍스트에 입각해 전면적·본격적 탐구를 시도하여 기록으로 정리한 거의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자세히 살펴볼 가치가 있다.
    김창흡의 「만록」 소재 『사기』 비평은 크게 세 가지의 특징적 양상을 보이는데, 그 첫 번째는 작자의 내면 심리 중심적 문장분석이다. 김창흡은 글의 전체 구조, 대주제,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기』를 분석하고 정리하면서 글 전체가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어떻게 직조되어 있는가를 유기적으로 읽어내고자 하되, 특히 사마천의 내면 심리를 문장분석의 중심 근거로 삼아 글 전체의 흐름과 의미를 밝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두 번째로 김창흡은 현실주의적 역사평론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는 특정 역사 사실이나 인물을 논할 때, 도덕적 시비를 따지는 의리론에서 벗어나 역사가 그렇게 되어간 정황적 원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현실론에 더 관심을 두었다. 이는 당시의 일반적 경향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김창흡의 특징적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김창흡은 서술구조 분석, 문장 품평, 어의와 자구 풀이 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적 작품평석을 시도하기도 했다. 「만록」 소재 7편의 비평 가운데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화식열전」이 유일하기는 하나, 김창흡 이전의 조선 문인들 가운데 이와 유사한 비평을 남긴 사례가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그의 『사기』 이해 수준과 관심의 정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김창흡의 비평은 『사기』에 대한 독창적 관점을 수립하고 후대 ꡔ사기ꡕ 주석서 형성의 기틀 마련한 것으로, 『사기』 수용사적 관점에서 갖는 의의가 크다. 김창흡은 『사기』를 읽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두루 살피고 대결하여 자기만의 독창적인 관점을 수립하였고, 그에 따라 스스로 『사기』를 제대로 이해했다고 자부하는 단계까지 나아갔다. 또한 그의 종합평석 작업은 이후 조선만의 전면적이고 독립적인 『사기』 주석서를 이루는 데 중요한 초석을 다졌다. 이는 모두 당시 조선의 『사기』 이해 수준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 aspects and significance of Kim Chang-heup(金昌翕)’s criticism of Shiji(『史記』) in the “Manrok”(「漫錄」) section of his Samyeonjip (『三淵集』), thereby demonstrating Kim's important position in the reception history of Shiji in Chosun Dynasty.
    Kim’s criticism of Shiji exhibits three characteristic aspects. Firstly, it’s sentence analysis is centered around the inner psychology of Sima Qian(司馬遷). Kim use Sima Qian‘s inner psyche as a central basis for sentence analysis to elucidate the flow and meaning of the entire text. Secondly, Kim demonstrates a departure from the moralistic debate and instead shows a realistic interest in revealing the contextual causes of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Thirdly, Kim attempts a comprehensive commenting encompassing structural analysis, sentence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s and contexts. Prior to Kim, there are few examples of similar criticisms among Chosun literati,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his understanding and level of interest in Shiji.
    Kim’s criticism establishes an original view on Shiji and lays the foundation for later commentaries, thus holding great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eption history of Shiji.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Shiji, Kim thoroughly considered others’ viewpoints and formulated his own original perspective, thereby claiming to have properly understood Shiji. Furthermore, his comprehensive commentary work laid important groundwork for subsequent independent commentaries on Shiji unique to Chosun. All these factors significantly elevat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hiji in Chosun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