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주적 의식과 과감한 참여로의 지적인 촉구 - 자크 랑시에르 정치철학의 가능성과 한계 - (Intellectual Stimulation for the Awareness for Autonomy and Bold Participation – Possibility and Limit of Jacques Rancière’s Political Philosoph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5.11
34P 미리보기
자주적 의식과 과감한 참여로의 지적인 촉구 - 자크 랑시에르 정치철학의 가능성과 한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36권 / 223 ~ 256페이지
    · 저자명 : 양대종

    초록

    랑시에르는 엘리트 교육을 받고 노동자 계급에게 세계와 혁명을 설명하는 것을 자신의 활동의 중심에 둔 철학자이다. 그의 스승 알튀세(Louis Althusser)와의 방법론적이고 정치적인 결별에서 보듯이 그는 다른 사상가의 혁명이론에 동의하기보다는 대립각을 세우고 의문을 제시해왔다. 그는 “말하기와 힘의 장소들을 새롭게 배치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가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 실제로 시대와 노동자의 문제를 보다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성숙한 관점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본고에서는 랑시에르의 층위가 다른 저술들을 그 내재적 연관성과 정합성을 상정하고 독해하여 그의 정치철학의 외연과 그것의 전략적 구현방법에 대한 그의 탐색을 정리해 본다. 이를 통해 사회변혁의 영역에서 그 난해함과 애매함으로 인해 잘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던 랑시에르의 글쓰기가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보는 것 또한 본고의 목적이다.
    랑시에르가 주장하는 것은 손과 몸을 써서 일하는 노동자와 철학적 관찰자의 평등, 반위계적인 혁명적 사회운동의 주체와 그것을 조직하는 자의 일치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모두에게 동일한, 자발적 행위와 결단을 특성으로 하는 지성의 평등을 자신의 정치철학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새로운 사실을 알아야만 하는 어쩔 수 없는 상황과 이것을 타개하려는 의지만으로도 지성의 모험은 충분히 성공적인 길로 들어선다는 그의 확신은 생각하는 존재를 자발적 사고와 결단으로 초대하는 또 다른 계몽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사회에 의해 강제로 행해진 감성의 분할을 전복시키는 주체를 만드는 랑시에르의 작업은 새로운 말과 말의 방식을 둘러싼 지적인 사회운동처럼 보인다. 랑시에르가 정치와 해방을 기획하며 중시하는 “사회의 무분별 속에서도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게 남으면서 사회의 무분별에 효과를 낼 수 있는 이성의 삶”은 개인의 차원에서 합리적인 사회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자는 계몽의 이야기이다. 그의 지성적 사회운동이 꾀하는 것은 정의롭게 깨어 있으려는 의식 있는 정신의 태도를 고양하는 것일 뿐 전체적인 구조의 변혁을 꾀하는 사회운동의 전략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axis of the French philosopher Jackques Rancière’s activities is explaining the world and revolution to the working-class people from the standpoint of his elite educational background. As demonstrated by his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separation from his teacher Louis Althusser, he has raised questions from a diagonally opposite stance rather than going with other philosophers‘ revolutionary theories. His main concern is to “rearrange places of speech and exercise of power”. However, whether the new perspective presented by him is a mature viewpoint contributing to a more rational and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issues of our time and working-class people remains open for debate. This paper seeks to present Rancière’s multi-layered writings and interpret their interrelatedness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extensional context of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his efforts towards its strategic implementation.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Rancière’s writings on social reform that have been unheard and unseen thus far under the thick cloak of complexity and ambiguity.
    What is advocated by Rancière may be summarized as the equality between a manual worker and a philosophical observer and the oneness of a participant in an anti-hierarchical revolutionary social movement and its organizer. The starting point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equality of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autonomous action and determination given equally to all people. His firm conviction that the situation requiring the understanding of new facts and the will to overcome the situation alone are sufficient for leading an intellectual adventure to success,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history of enlightenment inviting thinking beings to autonomous thoughts and determinations. Rancière’s striving towards creating the actors for overthrowing the “partage du sensibl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mposed by society conveys the impression of being an intellectual social movement revolving around new words and modi operandi of words. It is Rancière’s story of enlightenment encouraging maximum efforts to build a rational society at individual level by living a “rational life that leaves impact on the social indiscretion while being true to oneself amidst the social indiscretion” as advocated by Rancière’s political philosophy of emancipation. What is intended by his intellectual social movement is the mere encouragement of an alert mental attitude for righteous awareness, not a strategic plan for a social movement striving for overall structural re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