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피해자참가제도 시행 7년의 운영 성과와 그 시사점 (Seven-year Application of the Japanese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nd Its Implication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7.10
26P 미리보기
일본 피해자참가제도 시행 7년의 운영 성과와 그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38호 / 169 ~ 194페이지
    · 저자명 : 조균석

    초록

    일본은 2008년 12월 범죄피해자가 형사절차의 참가하여 증인신문, 피고인질문은 물론 변론으로서의 의견진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피해자참가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있다. 지난 7년간의 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도의 기본취지에 따라 순조롭게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1년 일본 제도를 모델로 한 피해자참가제도의 도입 등을내용으로 한 형사소송법개정법률안(2011년 정부안)을 정부에서 제출하였으나 제대로된 논의도 이루어지지 못한 채 폐기된 바 있다. 그러나 피해자보호에 대한 사회의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는 점에 비추어, 하루라도 빨리 피해자참가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커지고 있다. 새롭게 피해자참가제도를 도입할 경우, 일본에서의 운용 성과를 잘 분석하여 이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피해자참가제도를 도입할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할 것이다. 첫째, 대상범죄를 2011년 정부안 보다 넓게 인정하여야 하고 특히 교통범죄로 인한 피해자의 참가 의지가 큰 점에 비추어 이를 꼭 포함시켜야 한다. 둘째, 피해자참가인을 위한 변호사제도를 도입하고, 자력이 모자란 피해자에 대해서는 국선변호사의 조력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피해자가 참가를 원할 경우 거의 99% 허용하는 일본실무에 비추어 참가신청은 2011년 정부안과 마찬가지로 검사에게 하도록 하고, 나아가검사의 권한행사에 대한 의견진술권을 보장하고 검사의 설명의무를 부과하여야 한다.
    넷째, 피해자참가인의 권한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즉, 공판준비절차에의 출석을 허용하고, 정상사실 외에 범죄사실에 대해서도 증인신문이나 피고인신문을 할 수 있도록하여야 하고, 변론으로서의 의견진술, 즉 논고⋅구형을 인정하여야 한다. 나아가 증거신청권이나 상소권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December 2008, Japan introduced a victim participation system that allows the victim of crime to participate in criminal procedures to examine witnesses, to examine the defendant, as well as to state opinions as a plead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the past seven years, it is noted that the system is operated smoothly to the basic purpose.
    In 2011, The Korean government made a revised bill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The government proposal of 2011)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a victim participation system modeled on the Japanese system. However, it has been abandoned without any proper discussion. Yet,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troduce a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s soon as possible in view of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protection of victims by society. When instituting a new victim particip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peration outcome of Japan and refer to it.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the victim participation system. First, I suggest the target crime be more widely accepted than the government proposal of 2011. In particular, victims of traffic crime needs to be include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y are eager to take part in. Second, the lawyer system for participating victi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victim who is lacking in self-sufficiency can be assisted by the court-appointed defence attorney for the participating victims. Third, in the light of the Japanese practice of allowing almost 99% of the victims to participate, the application for participation should be made to the prosecutor as in the case of the government bill of 2011. Moreover, it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right to state an opinion against the prosecutor’s exercise of discretion and impose the duty of explanation on the prosecutor. Lastly, I propose the strengthened rights for the victim participant as follows: the right to attend on pre-trial date, the right to examine witnesses, the right to examine the defendant regarding the criminal facts as well as the circumstantial facts, and the right to state opinions as a pleading.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uthorize the right to request evidence or the right of appe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