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범술의 차 정신 ‘中正의 道’ - 『韓國의 茶道』를 중심으로 - (‘A Way of Impartial Justice’: Tea Mind of Choi Beomsul - focusing on The Tea Way of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최범술의 차 정신 ‘中正의 道’ - 『韓國의 茶道』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2호 / 321 ~ 353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순

    초록

    본 연구는 『韓國의 茶道』를 중심으로 최범술의 차 정신을 고찰하고 있다. 그의 차 정신의 핵심은 ‘중정(中正)의 도(道)’이다. 차생활의 실제에서 중정은 차도용심, 간맞음, 알맞음으로 드러난다. 차도용심이란 차구, 물, 불 등의 성품을 살펴 그것들이 각기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간맞음이란 찻물을 우려낼 때 끓여서 적당히 식힌 물과 찻잎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차의 색·향·미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알맞음이란 차생활에 쓰이는 모든 것들이 조화로움을 잃지 않고 때와 장소, 상황과 법도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차생활의 목적은 중정의 도를 깨닫고 생활 속에서 각성된 삶을 실천하는데 있다. 차생활의 이념으로서 중정의 도는 불기(不器)와 대중의 멋, 지은보은(知恩報恩 은혜를 알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과 생명 살림으로 드러난다. 불기란 모든 사물이 각기 제 빛깔과 제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고 다양한 것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중의 멋이란 인간의 공통된 본성이 무한을 추구하는 마음에 있다는 것을 알고 시비, 분별을 벗어나 공공의 삶을 추구하는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은보은이란 한 잔의 차를 통해 일상의 모든 것들에 감사하면서 그 은혜에 보답해 나갈 때 진리의 기쁨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생명 살림이란 차라는 매개를 통해 세상 만물이 서로 의지하고 있음을 깨닫고, 생활 속에서 뭇 생명을 살려나갈 때 진정한 차살림(차를 통한 생명 살림)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has illuminated Choi Beomsu’s ‘the mind of tea way’, focusing on his book, The Tea Way of Korea.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ce of his tea spirit must be ‘A Way of Impartial Justice.’ In the practice of tea, lifestyle ways of impartial justice are revealed as lifestyle of tea way, tastefulness, property. The lifestyle of tea way means to take care of tea equipments, mineral water, heating fire in order to make them respectively function properly. Tastefulness means to make color, flavor, and taste of the tea get harmony with each other, getting some cool water after being heated and some measured tea leaves in having a brew up of tea. Property means to arrange wearing clothes and a tea room in harmony with time, space, conditions, and etiquette.
    The aim of tea lifestyle is in just doing practice awakened life, realizing ways of impartial justice in one’s own life. The way of impartial justice as an idea of tea life can be revealed as Bulgi(not as a separated dish), style of folks, Beobhiseonyol(knowing others’ gratitude and paying for it), and living economy in wellness. Bulgi means to embrace all the diverse things, knowing that everything has its own color and nature. Style of folks means for people to purse for public mind, recognizing that the common nature of humankind lies in the spirit in search of the infinite. Repayment of a kindness means to find out the pleasure of the truth in feeling the others’ gratitude and paying for it through a cup of tea. Living economy in wellness means to make all the living units live a wellness life, awakening out that all the living things feel the will to help each other in the media of t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