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車天輅 관련 통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Reconstructing Cha Cheon-ro’s Legacy : Examining the Construction of Public Knowledg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2
22P 미리보기
車天輅 관련 통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70권 / 39 ~ 60페이지
    · 저자명 : 최혜미

    초록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시인인 車天輅(1556~1615)는 국문 가사 작품인 「강호별곡」과 「강촌별곡」의 저자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강촌별곡」은 그가 만년에 정치적 박해를 피해 전라도 익산에 은거하던 시기에 창작한 작품이라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등 당시의 기록을 살펴보면 차천로는 생전에 정치적 위상이 그리 높은 인물이 아니었고 만년에도 서울에서 활동한 흔적이 많아 익산에서 장기간 은거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또한 「강촌별곡」 역시 그의 작품으로 확언할 만한 문헌적 근거가 부족하다.
    차천로에게 박해받은 충신의 이미지가 부여되고 그의 만년의 삶과 「강촌별곡」 등이 연결된 것은 延安車氏 문중에서 진행한 가문 선양사업의 영향이 컸다. 특히 문중회장인 車益敎는 1980년대부터 차천로에 관한 연구와 출판 및 각종 사업을 주도했는데, 그의 저술에서 차천로의 익산 은거설과 「강촌별곡」 만년 창작설이 최초로 확인된다. 그의 견해는 연안차씨 문중의 공론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차천로 관련 문화자원 개발 사업과 맞물려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차천로에 대한 통설을 형성하였고 이것이 다시 학계에 영향을 미쳐 「강촌별곡」의 창작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활용되었다.

    영어초록

    Cha Cheon-ro(車天輅, 1556–1615),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mid-Joseon period, is also known as the author of the Korean Gasa(歌辭) works Ganghobyeolgok and Gangchonbyeolgok. The prevailing view is that Ganghobyeolgok was written during his later years when he was in seclusion in Iksan(益山), Jeolla-do(全羅道), after facing political persecution. However,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uggest that Cha was not a figure of significant political status during his lifetime and that he remained active in Seoul even in his later years, making it difficult to conclude that he lived in prolonged seclusion in Iksan. Moreover, there is insufficient documentary evidence to definitively attribute Gangchonbyeolgok to him.
    The portrayal of Cha as a persecuted loyalist and the association of Gangchonbyeolgok with this image were largely influenced by the Yeonan Cha clan(延安車氏)’s efforts to enhance their family’s prestige. In particular, Cha Ik-gyo(車益敎), the head of the clan association, played a central role in promoting research, publications, and cultural projects related to Cha Cheon-ro from the 1980s onward. His writings were the first to claim that Cha lived in seclusion in Iksan and authored Gangchonbyeolgok. Over time, his views became the accepted narrative within the Yeonan Cha clan and were further reinforced by local government projects that sought to develop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Cha. This process led to the widespread public perception of Cha’s life and eventually influenced Korean literary studies, shaping the discourse on the authorship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Gangchonbyeolg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