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차대전 이후 개조론의 문학사적 의미 (The Significance of Reconstruction Theory in Korean Literary History Since World War 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3.08
25P 미리보기
1차대전 이후 개조론의 문학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6호 / 299 ~ 323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석

    초록

    일반적으로 1920년대 문학사를 3․1운동에서부터 시작하는 경향이 강하다. 여기에는 일국(一國)문학사, 민족문학사의 관점이 투영되어 있다. 하지만 3․1운동의 정신적 배경에 ‘개조론(改造論)’이 있다는 것을 상기하면, 개조론의 관점에서 1920년대 문학사를 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조론은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확산된 ‘반전론(反戰論)’으로서, 모든 식민지 쟁탈 전쟁에 반대하는 ‘반(反)자본주의’, ‘반(反)제국주의’ 운동을 가리킨다. 따라서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이 ‘개조론’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1차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문명과 야만의 차별을 인정하는 사회진화론자들이 대세였지만, 1차대전 이후 문명과 비문명의 평등을 강조하는 ‘반문명론자’들이 대두한 것이다. 개조론의 선조로는 니체, 마르크스 등이 있으나, 식민지 조선에서는 개조론의 선구자로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에 주목하였다. 러셀은 전쟁 중에 『사회개조의 원리(Principles of Social Recons- truction)』(1916)를 출간하면서 반전주의자로 알려졌고, 1920년 중국과 일본을 방문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된다. 러셀은 소유의 충동을 부추기는 ‘국가’와 ‘전쟁’을 비판하고 ‘예술’과 ‘사랑’처럼 창조의 충동을 강화하는 새로운 사회를 지향했다. 이를 길드 사회주의라고 하는데, 자본주의를 부정하지만 국가 중심의 사회주의에도 반대하는 러셀의 대안적 사회체제라 하겠다. 러셀의 반문명론에 매료되어 거기에서 사회개조의 모델을 찾아낸 세력으로 『개벽』의 필자를 주목할 수 있다. 러셀은 물리적 차원의 개조(=사회주의)보다는 정신적 차원의 개조가 우선이라 생각했는데, 이것이 ‘문화주의’ 운동의 계기가 된다. 『개벽』에서 확산된 일종의 정신 개조론은 이광수를 통해서 ‘민족성 개조론’으로 정비된다. 유학생 사회에서는 개조론을 통해 ‘조선적 정신’의 탐색에 집중했던 안확이라는 학자가 출현해서, 조선의 미술, 언어, 문학, 종교 등을 연구하는 ‘국학’의 정신이 개화한다. 개조론이 민족주의 출현의 배경이 된 것이다. 이러한 개조론의 거대한 흐름에 비한다면 ‘동인지(同人誌) 중심의 문학사’는 과잉 해석의 산물일지도 모른다.

    영어초록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the 1920's begins with the 1919 civil uprising against Japan's colonial rule called "Samil Movement." On this point, it can be said that the perspective of a national literary history is reflect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spirit of Samil Movement is, in part, based on the theory of reconstruction, it is possible that the literary history in the 1920's is explored and overviw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reconstruction. As the anti-war thought dissemi -nated in World War I, this theory refers to the 'anti-capitalist' and 'anti- imperialist' movement in opposition to all types of colonial wars. Thus, it seems natural that Korean intellectuals under Japan's colonial rule became interested in reconstruction theory. Before World War I, there were plenty of social evolutionists who justified discrimination between civilized men and savages; however, anti-civilization theorists and intellectuals, who insisted the equality between civilization and savagery, were beginning to appear after the war. Interestingly enough, while Nietzsche and Marx are known as forerunners of reconstruction theory, it is Bertrand Russell who was the most highlighted in colonial Korea. Russell published Principles of Social Reconstruction (1916) during the war, and then he was called "anti-war theorist." In addition, his visit to China and Japan in 1920 drew much more attention from Koreans. Russell criticized against 'the state' and 'war' as embodiments of possessive impulses and maintained an ideal society which nourished creative impulses such as 'art' and 'love.' In fact, it is called guild socialism; that is, Russell's alternative social system which refuted both capitalism and state socialism.
    The author of Gaebyeok is one of the Korean intellectuals who were fascinated by Russell's theory of anti-civilization and created an ideal model of social reconstruction. Rusell asserted that spiritual reconstruction rather than material reconstruction was a prime requisite. Such the thought came a starting point of the movement of culturalism. The so-called spiritual reconstruction widely circulated throughout Gaebyeok is reformed as the remak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advocated a moral overhaul of Korea by Lee Gwangsu. Also, a newly emerging scholar An Hwak, who focused on 'the spirit of Chosun' with reconstruction theory, illuminated 'National Studies' which examined and promoted art, language, literature, and religion of Chosun in the society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nationalism is born out of reconstruction theory. In a nutshell, the paper brings into question the function/role of literary coterie in literary history, which seems over- interpreted or over-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