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차 산업혁명: 문학의 변화와 지향점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 and Orientation of Literatu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8.04
36P 미리보기
4차 산업혁명: 문학의 변화와 지향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65호 / 29 ~ 64페이지
    · 저자명 : 이도흠

    초록

    우리는 이 시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호들갑을 떨지 말고 차분하고 냉철하게 인문학적 성찰을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기업과 국가는 물론, 인류 문명 자체의 대전환을 야기할 것이다. 문학도 이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인간의 마음과 유전자와 뇌신경세포는 서로 연기적 관계에 있다. 인간의 마음이 유전자와 뇌신경세포의 소산이지만, 몸 전체의 네트워킹이 유전자와 뇌신경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을 100%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겠지만, 강 인공지능 로봇은 대략 2050년 경에 기술적 특이점을 돌파하여 지능폭발을 하고 초지능을 습득할 것이다. 인공지능은 여러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함은 물론, 인간의 본성과 정체성에도 혼란을 가져올 것이며, 이 경우 인간, 기계, 인공지능, 사이보그의 네 존재가 서로 대립과 모순의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이 경우 도구와 인간/창작자의 위치가 전복되어 네비게이션처럼 인간은 초기입력이 끝나는 순간 이를 보조하는 노예나 행위자로 전락할 것이다. 문학은 인공지능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성, 생명성, 영성을 추구하고 이를 구현하는 차이의 글쓰기와 읽기를 해야 한다.
    발달된 가상현실로 인하여 우리는 점점 더 원격현존을 경험하고 있다. 이로 가상과 실재의 경계가 무너지고 재현의 위기는 증대한다. 앞으로 가상현실이 문학의 리얼리티를 넘어설 것이다. 그럼에도 문학의 리얼리티의 영역은 남을 것이다. 이의 지향점은 가상과 현실 사이에서 진동하면서 끊임없이 틈을 내고 진리를 추구하는 ‘틈과 참의 리얼리즘’이다.
    지금 세계는 거의 모든 사물과 공간, 데이터들이 지능을 가진 것처럼 서로 인터넷을 매개로 연결된 초연결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초연결사회가 한계비용이 0인 공유사회의 영역을 늘릴 것이며, 이는 문학의 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할 것이다. 초연결 사회에서 작가들은 홀로 동떨어져 존재하는 사물들이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스스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사물들에 2차적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이의 지향점은 노마드적이고 여성적인 글쓰기를 하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 가상과 실상, 원본과 복사본, 현실과 비현실, 현존과 원격현존과 사이에서 진동하면서 고뇌하고 방황하지만, 인공지능과 공진화를 모색하며 생을 이어가고 이를 문학으로 표현할 것이다.

    영어초록

    At this point, we should not be fussy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should give a humanistic reflection on this matter in a calm and cool mann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bout a massive transformation of the civilization itself, as well as corporations and the nation. Literature can not escape from this flow. The human mind, genes, and neurons are connected in the relationship of dependant origination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human mind is generated from genes and neurons, networking of the whole body also affects genes and neurons. Therefore, human beings have free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not replace humans perfectly, but strong AI Robot will break through technological singularity around 2050, making intelligent explosions and learning super-intelligence. AI will not only replace humans in many fields, but also confuse human nature and identity. In this case, the four beings of human, machine, AI, and cyborg will form a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literature, tools and creators’ positions are overturned, and humans will fall into slavery or agents as the initial input ends. Literature must pursue human nature, life, and spirituality, which are distinct from AI. To achieve this, writing and reading should be done to create difference.
    We are experiencing more and more tele-presence because of the improved virtual reality. This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 and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increases. In the future, virtual reality will transcend the reality of literature. Nevertheless, the realm of literary reality will remain. The alternative of these matters is the “realism of teum(the gap) and cham(the ultimate truth)” that constantly makes a gap and pursues the truth while vibrating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ity.
    Now the world is transforming into a super-connected society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as if almost all objects, spaces, and data have intelligence. The hyper-linked society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will increase the scope of a shared society with zero marginal cost, which will work in the field of literature as well. In a hyper-linked society, writers will give secondary meaning to objects that have their own meaning in the network, not objects that exist alone. Its aim is to make a nodal and feminine writing. In the end, humans will live and create literature in search of co-evolution with AI, while agonizing and wandering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the original and the copy, presence and tele-pres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