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의회 의원들의 쪽지예산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회 지방교육예산 심의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rk Barrel Spending of Local Councilors: Focusing on the approval process of local education budget of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지방의회 의원들의 쪽지예산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회 지방교육예산 심의과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책개발연구 / 21권 / 1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설인환

    초록

    쪽지예산의 사전적 의미는 예산심의 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이 예산심사를 맡은 위원들에게 자기 지역구 사업을 예산에 편성해달라고 쪽지로 부탁한 예산을 말한다. 일반적인 의미는 예산안 심의과정, 특히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의원들이 자신의 지역ㆍ민원사업 등을 추가로 끼워 넣는 예산을 말한다. 이것은 의원들이 쪽지에 적거나 원내대표 의원이 의원들의 요구를 집계해서 서류목록(쪽지)으로 예산 심사 소위 위원들에게 전달되는 관행에 대해 붙여진 이름이다.
    해마다 우리나라 언론들이 의원들의 쪽지예산을 비난하는 이유는, 사업 타당성검토도 없이 선심성으로 예산 심의과정에 불쑥 끼워 넣고 통과되게 되면, 계속해서 장기간 예산이 투입되므로 예산낭비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또 소위 실세 의원들이 많이 가져가고 힘이 약한 의원들은 그렇지 못해서, 지역구 주민들 간에 형평성 문제도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의원들의 쪽지예산 관행은 왜 없어지지 않는 것일까? 개선은 가능한 것인가? 다른 나라들도 그런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 답해보기 위해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회 사례와 내각책임제 국가인 호주 의회 사례를 분석한다. 쪽지예산이란 것이 불가피한 것인지를 살피고, 쪽지예산이 성행하는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치․예산제도도 살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지방과 중앙을 정치시스템이 같기 때문에 국회의원과 다른 지방의원들의 쪽지예산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city councillors’ pork barrel spending dur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education budget approval,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current practice. This study includes 10 years’ data from 2010 to 2020 budget year.
    The scop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equity in earmarked spe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city councillors’earmark spendings was about one percent of the total education budget, and the members of the subcommittee on Budget accounted about two percent, which was twice as much. In the equity analys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each year varied from 0.6 to 1.3, which seemed to reveal a considerable inequity, however, the one for the sum of the 10-year data was 0.4,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inequity was not so high in large stands.
    It was also found that one of the reasons why city councillors try earmarks lies in the budget system, which bans budget increase or the introduction of new it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earmarks in the U.S, members of Congress earmarked around one percent of the discretionary spending every year. It seems that the controversial practice has been continued even though the president has the right of veto and there are strong CSOs such as CAGW monitoring the earmark spendings.
    In Australia, earmarking has been an issue relevant to the leadership group rather than individual MPs; they were accused of allocating more funds in specific areas to appeal to marginal seat voters.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consider MPs in the process of funding school faciliti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abinet system, the budget approval process was so simple that the controversy over earmarks was difficult to find among individual MP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new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inequity found in city councillors’earmarking practi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it is needed to legislate a local ordinance on funding for the minor capital works, which specifies financial support for at least one per year to all schools. Second, since the current two-time notice system of grants is likely to cause supplementary budget and pork barrel spending, it shall be improved to the one-time notice system.
    Fin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all give local governments more authority on financial decisions by increasing the portion of general grants and decreasing the portion of special gr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책개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