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쪽샘41호 출토 矢箙의 특징 및 의의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Sibok (Ornate quiver) Excavated from Tomb No. 41 at Jjoksaem, Gyeongj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6
26P 미리보기
경주 쪽샘41호 출토 矢箙의 특징 및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6권 / 7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성훈

    초록

    삼국시대 화살통은 형태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바로 矢筒과 矢箙이다. 현재 영남지방 고분에서 확인되는 대부분의 화살통은 시복으로, 신라에서는 5세기 중엽 이후 장식성이 강한 시복이 부장되기 시작한다.
    경주 대릉원 쪽샘지구 41호분에서는 각기 다른 세 가지 형식의 시복 5점이 출토되었다. 철지금장의 원두정을 사용하여 금구를 장식한 것(시복A), 걸이금구 하단이 ㄱ자형으로 꺾이며 철제의 원두정을 사용하여 금구를 제작한 것(시복D), 마지막은 걸이금구 하단이 두 갈래로 나뉘며, 철제나 철지은장의 원두정을 사용하여 금구를 제작한 것(시복B․C․E)이다.
    경주의 최상급(1등급) 무덤에서는 금동제의 금구에 금장․은장 등의 원두정을 사용하고 금구 표면에 점열문이나 파상문 등을 시문한 시복이 부장된다. 중형급의 무덤인 쪽샘41호에서는 철제나 철지금장․철지은장 기법을 사용한 시복이 부장된다. 이를 통해 1등급과 그 아래 등급에 해당하는 무덤 피장자 간에는 시복 소유에 제한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쪽샘41호에서 출토된 세 가지 형식의 시복을 살펴보면 신라 시복 변화양상의 한 단면을 살필 수 있다. 특히, 주목해 봐야 할 자료는 바로 걸이금구 하단이 두 갈래로 나뉘며, 철제나 철지은장의 원두정을 사용하여 금구를 제작한 시복B․C․E(Ⅱ형식)이다. 시복B․C․E(Ⅱ형식)는 단면 반원형의 대륜형금구를 채용한 Ⅲ형식의 시원형이자, 수납부 장방형의 Ⅰ형식 시복과 수납부 단면 반원형의 Ⅲ형식 시복의 과도기적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quiver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ir form: sitong (矢筒) and sibok (矢箙). Most of the quivers recovered from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fall into the sibok category. In Silla, ornate sibok began to be produced around the mid-5th century.
    Five sibok quivers of three distinct types were unearthed from Tomb No. 41 in the Jjoksaem area of the Daereungwon district in Gyeongju. Sibok A is adorned with gilt-bronze fittings and uses a gilt iron or bronze-capped round-headed fixing spike. Sibok D features ㄱ-shaped hanger fittings and iron- capped round-headed fixing spike. Sibok B, C, and E have hanger fittings that split into two branches and are made using iron or silver-plated iron round-headed fixing spike.
    In the highest-grade (Grade 1) tombs of Gyeongju, sibok with elaborate gilt-bronze fittings, gold- or silver-plated caps, and decorative motifs such as dotted lines or wave patterns have been found. In contrast, Tomb No. 41, a mid-tier burial, yielded sibok made with simpler iron, gilt iron, or silver-plated iron fittings. This suggests that access to highly decorative sibok was restricted based on social rank.
    Meanwhile, the three types of sibok excavated from Tomb No. 41 in the Jjoksaem District provide insight into the stylistic transition of Silla quivers. In particular, noteworthy are sibok B, C, and E (Type II), characterized by the bifurcated lower ends of the hanging fittings and the use of iron or silver-plated iron pegs (wondujeong) to attach the fittings. These Type II sibok can be seen as the prototypes of Type III, which feature semi-cylindrical quivers with large-ring fittings, and also as transitional forms between the rectangular-bodied Type I and the semi-cylindrical Type III sib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