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약성경과 유대교의 속죄와 '쩨다카' (Atonement and 'Tsedakah' in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03
29P 미리보기
구약성경과 유대교의 속죄와 '쩨다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16권 / 1호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정연호

    초록

    유대교 '쩨다카'의 속죄제사적 성격을 구약신학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예언신학적 개념인 '의'를 제사신학적 속죄의 양식에 상응시켜보았다. 예언신학에서의 '의'의 삶은 속죄신학의 속죄제사에 상응하며, 이를 예언서의 메시지와 '의'의 개념을 통해서 추적하였다. 유대교의 '쩨다카'는 제사신학의 죄용서와 예언신학의 '의'가 융합된 것이며, 총체적 속죄신학의 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work purports to search for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tsedakah'( ) of Judaism, which can be translated as charity and has been considered as a means for the atonement of sins. The term 'tsedakah' in the Old Testament, of which the original meaning is righteousness, does not appear in the priestly texts, while the term atonement is not dealt with in prophetic theology.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in Judaism the 'tsedakah' as charity has been considered as a way of atonement for sins, it can be presupposed that into the 'tsedakah' of Judaism could be integrated the term 'tsedakah'(righteousness) and the term atonement in the Old Testament. The aim of the current work could be attainable through ascertaining this pre- supposition. Methodologically, I will examine what attitude priestly theology and prophetic theology had towards sin respectively, and apply the priestly atonement formula to prophetic theology. Through this examination it can be known if the 'tsedakah' of Judaism is an amalgamation of 'tsedakah' (righteousness), which is prophetic term, and atonement, which is priestly term.
    The priestly theology grasps sin at the point of cultic cleanness and thus its atonement was focused on the remedy of profaneness and impurity. However, prophetic theology preferred the word 'avon'( ),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injustice and lawlessness when it was meant for social and ethical sins. The atonement formula in the priestly laws is 'repentance sacrificial offering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formula the sacrificial offer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sign of repentance. When applying this formula to prophetic theology, the sacrificial offering can be identical with the life of righteousness which was emphasized in prophetic theology. Particularly in prophetic theology the life of righteousness was the life of the 'tsedakah', which was the concretization of the abstract righteousness('tsedek' ) from God and the actualization of social justice. The theological thoughts reflected in the 'tsedakah' in Judaism can be summarized as 'life-care' and 'correction of the world.' 'Life-care' and 'correction of the world' are to protect the life and dignity of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from all kind of threats as well as poverty, and to join in the restoration and reformation of the corrupted creation-order by sins. In this regard, the perspective of the 'tsedakah' in Judaism is connected to the social justice of the prophetic theology. While the 'tsedakah' of Judaism inherits its tradition from prophetic theology, it seems to suppose the acceptance of the priestly atonement formula of 'repentance sacrificial offering forgiveness.' If it is given, the act of atonement in prophetic theology is the life of righteousness, which is comparable to the sacrificial offering in priestly theology. If the sacrificial offerings in priestly theology serve to purify the altar and the temple defiled with sins, it can be said that the life of righteousness in prophetic theology serves to cleanse the world contaminated with injustices. The 'tsedakah' of Judaism following after the tradition of prophetic theology as well as accepting the term of atonement of priestly theology can be viewed as a means of the sacrifice for the atonement of sins. This work may suggest a possibility for a holistic model of the atonement theology through the integration of priestly theology and the prophetic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