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의 저널리즘과 일본어 번역/창작의 역학 - 오사카마이니치신문 조선판 수록‘조선여류작가집’(1936)의 의미 - (Imperial Journalism and the Dynamics of Japanese Translation/Creative Writing - The Meaning of ‘Joseon Yeoryu Jakgajip’(1936) included in the Joseon Edition of Osaka Mainichi Newspaper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11
22P 미리보기
제국의 저널리즘과 일본어 번역/창작의 역학 - 오사카마이니치신문 조선판 수록‘조선여류작가집’(1936)의 의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7호 / 151 ~ 172페이지
    · 저자명 : 서승희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유력 일간지 『오사카마이니치신문』 조선판에 수록된 ‘조선여류작가집’(1936.4.21~6.10)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여류작가집’은 백신애, 최정희, 장덕조, 노천명, 박화성, 김말봉, 강경애 등 당대 활발히 활동하던 여성 작가들의 최신 단편소설로 구성되었다. 이 중 백신애, 장덕조, 노천명, 박화성, 김말봉의 소설은 조선어 원전을 번역해 실은 것이며, 최정희, 강경애의 소설은 원전이 발견되지 않은 창작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장으로 나누어 텍스트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백신애, 박화성의 텍스트는 향토적 지방색을, 장덕조, 노천명, 김말봉의 텍스트는 현대적 여성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원활한 식민 지배를 위해 문명(일본) 대 야만(조선)의 도식을 유지하고자 했던 제국의 입장을 생각해 볼 때, 주체적인 현대 여성상을 부각시키거나 남성성의 권위를 무너뜨리는 장덕조, 노천명, 김말봉의 텍스트는 이색적인 번역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번역된 텍스트를 살펴볼 때 삭제, 누락, 변개 등으로 원전과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된다. 따라서 이는 상호 존중에 기반을 둔 문화 교류가 아니라 일본인 독자를 위한 정보 제공에 목적을 둔 기획물에 머물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강경애와 최정희는 종래 자신이 지니고 있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본어 매체 수록을 위한 새로운 소설쓰기를 선보였다. 강경애는 「長山串」에서 식민지적 비참을 배경에 둔 채 일본인과 조선인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했으며, 최정희는 「日陰」에서 근대-문명의 시각과 변별되는 여성의 시각으로 종교를 앞세운 남성의 이기심을 비판했다. 두 작가의 소설은 제국주의적 저널리즘의 지향과 일치하지 않는 식민지 여성 작가의 문제의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여성 문학의 일본어 번역 및 창작에 관한 연구는 작가별, 시기별, 장르별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oseon Yeoryu Jakgajip(Collection of Joseon Female Writers)’(April 21st to June 10th 1936) included in the Joseon edition of Osaka Mainichi Newspaper, which is one of influential daily newspapers in Japan. ‘Joseon Yeoryu Jakgajip’ consists of latest short stories of female writers who were active in creative writing at that time. Especially, the novels of Baek, Shin-Ae, Jang, Deok-Jo, Noh, Cheon-Myeong, Park, Hwa-Seong and Kim, Mal-Bong are translated from the Korean original texts and the novels of Choi, Jeong-Hee and Gang, Gyeong-Ae are creative stories with no original texts. Therefore, this paper is classified into two chapters to review the tex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xts of Baek and Park have local colors and the texts of Jang, Noh and Kim are characterized by modern femininity. Considering the imperial stance to maintain the adversarial relationship between civilization(Japan) and barbarism(Joseon) for smooth colonization, the texts of Jang, Noh and Kim that emphasize independent modern femininity, or destroy the authority of masculinity, are unusual translations. But actually,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original texts due to deletion, omission and alteration. This means that they were merely the publications for information provision, not for cultural exchange. On the other hand, Gang, Gyeong-Ae and Choi, Jeong-Hee published new novels to be included in Japanese media, based on their original critical minds. In 「Jang San Got」, Gang explor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Japanese people and Korean peopl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lonial tragedy and in 「Yil Eum」, Choi criticized selfishness of men, who put emphasis on religion, from the female perspective that is discrim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times and civilization. The novels of the two authors have significance by showing independent expressions of female writers in the colonial era that didn’t agree with the unilateral choice of journalism.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n translation of female literature and Japanese creative writing needs to widen the scope depending on writers, time periods and genres 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