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비교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nutri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10
12P 미리보기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48권 / 5호 / 429 ~ 440페이지
    · 저자명 : 안윤, 김경원, 김경민, 변진원, 여익현, 남기선

    초록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333명에게 나트륨관련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등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나트륨 섭취줄이기’ 행동변화단계에 따라 ‘행동전단계 (고려전/고려/준비)’, ‘행동단계 (행동/유지)’ 두 군으로 분류하여 변수간의차이를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이며 대상자의 68.4%는중년에 해당되었다. 나트륨관련해서 식사관리에 관한 관심도는 대상자의 54.8%가 ‘매우 관심 있다’고 답하였고, 나트륨관련 식생활정보는 주로 TV/라디오 (56.6%)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 나트륨관련 영양교육을 1회 경험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 (49.7%), 영양교육의 내용으로는 ‘나트륨을 줄이는 조리 방법’, ‘나트륨과 혈압의 관계’, ‘나트륨과 질환의 관계’ 순이었다.
    2) 나트륨관련 영양 지식 총점은 평균 9.3점으로 행동단계군 (9.4점)은 행동전단계군 (9.2점)보다 점수가 조금 높았고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문항별로 ‘영유아기의 나트륨 섭취의 중요성’, ‘가공식품과 자연식품의 나트륨 함량 비교’에서 대상자들은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성인의 1일 나트륨 목표섭취량’ (27.0%), ‘영양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산출’ (30.3%)에서 정답률이 상당히 저조하였다.
    3)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식태도 총점은 39.6점으로 행동단계군 (40.3점)은 행동전단계군 (36.6점)보다 식태도가긍정적이었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식태도 항목 ‘음식은 싱겁게 먹어야 함’, ‘짭짤한 맛이 좋음’, ‘식사 시 국이나 찌개를 먹는 것을 좋아함’, ‘식사 시 김치나 장아찌를 먹는 것을 좋아함’, ‘국수, 라면 등 국물류를 좋아함’에서 행동전단계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p < 0.001), 행동전단계군보다 바람직한 식태도에는 더 동의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식태도에는 덜 동의하였다.
    4) 대상자의 식행동 총점은 49.6점으로 행동단계군(49.9점)은 행동전단계군 (48.5점)보다 식행동이 양호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부분의 식행동 항목에서행동단계군은 행동전단계군보다 양호하였는데, 일반 식행동 중 ‘잡곡밥 먹기’, ‘기름진 음식 먹기’ (p < 0.05), 나트륨관련 식행동 중 ‘간장 등 양념장을 찍어먹는 음식 먹기’, ‘짠 스낵 먹기’, ‘가공식품류 먹기’, ‘외식, 배달음식 먹기’ (p < 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5) 나트륨 저감화 방법에 관한 자아효능감 총점은 평균57.1점으로 행동단계군 (58.2점)은 행동전단계군 (52.5점) 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대부분의 방법에서 행동전단계군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는데, 특히 ‘가공식품 피하기’, ‘소금, MSG 대신 천연조미료사용하기’, ‘음식의 간은 조리를 마친 후 하기’, ‘국그릇 크기 줄이기’, ‘저염 양념장 만들어 사용하기’ 방법에서는 두군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p < 0.001).
    6) 식태도는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 0.001)를 식행동은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 0.001)를 나타내었고, 영양 지식은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7) 연구 결과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영양사업의 확대가 요구되며 영양교육 등 영양사업 시행 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별로 대상자를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행동전단계 대상자에게는 나트륨 저감화 실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태도 변화를 위해 동기 부여 요소를 활용하며 행동단계 대상자에게는 실천이 지속되도록 자기조절 방법, 실천 방법 등을 활용하면 좀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가공식품 산업계에서는 나트륨 저감화 제품 개발이 더욱 활성화됨으로써 급식에적용 가능한 나트륨 저감화 제품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ea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among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Methods: Subjects (n = 333)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wo groups based on the stages of change; Pre-action stage (PA group: precontemplation/contemplation/preparation stage), Action stage (A group: action/maintenance stage). Results: A major source of sodium-related nutrition information was TV/radio (56.6%) and only 166 people (49.8%) have experienced nutrition education specific to sodium. Although the A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than the PA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for ‘daily goal of sodium intake for adults (27.0%)’, ‘calculation of sodium content in nutrition labeling (30.3%)’ were low for both groups. The A group (total score: 40.3) had more desirable eating attitudes regarding reducing sodium intake than the PA group (36.6, p < 0.001). The total score for eating behaviors was slightly higher in the A group (49.6) than in the PA group (48.5),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 group (total score: 58.2) also received higher scores for self-efficacy regarding reducing sodium intake than the PA group (52.5, p < 0.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expanded an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ages in reducing sodium intake. It is also suggested that food companies make efforts to develop low-sodium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