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기독교 지도자들의 기독교교육 담론 분석 (An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1922))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4.05
31P 미리보기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기독교 지도자들의 기독교교육 담론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9호 / 553 ~ 583페이지
    · 저자명 : 안수강

    초록

    『宗敎界諸名士講演集』은 일제 문화정치(1919-1930) 초기 1922년도에 발행된 한국인 최초의 설교문집이다. 본 연구는 이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설교문들 중 이만집(李萬集) 목사의 “第二國民의 養成”, 강규찬(姜奎燦) 목사의 “愛의 讚頌”, 이필주(李弼柱) 목사의 “참으로 自己를 알나(알라)”, 이홍주(李泓周) 시찰(視察)의 “良心의 威力”, 강두송(姜斗松) 목사의 “婦人問題” 등을 중심으로 초기 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기독교교육 담론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 관한 핵심적인 논점들은 이 다섯 편의 설교문들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기독교교육 담론과 관련하여 설교문들에 진술된 핵심적인 논증과 논지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만집의 “第二國民의 養成”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서는 출산 이전의 태아 교육, 출산 이후에 시행할 덕육(德育), 그리고 교육적 사표(師表)가 되어야 할 부모의 위치 등에 주안점을 두어 고찰했다. 둘째, 강규찬의 “愛의 讚頌”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서는 내적 사랑의 교육, 외적 실천의 교육, 그리고 내적 사랑과 외적 실천의 유기적 일원화 등에 관한 논점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셋째, 이필주의 “참으로 自己를 알나”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서는 인간 자신을 아는 지식, 하나님을 아는 지식, 그리고 인간에 관한 지식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양자 사이의 논리적인 서정(序程) 등과 관련하여 논지들을 살폈다. 넷째, 이홍주의 “良心의 威力”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서는 기독교인들이 갖추어야 할 모범적인 인상(印象), 코람 데오의 신앙, 동기론적 윤리관(動機論的 倫理觀), 한국기독교인들의 목적의식과 비전, 그리고 민족복음화 등에 관한 논지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다섯째, 강두송의 “婦人問題”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담론에서는 여성들의 사회진출, 여성들을 배려한 교육기회, 그리고 여성교육을 위한 진흥책 등에 관한 논점들을 중심으로 논증했다.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나타난 주목할 만한 논지들과 의미심장한 과제들에 비추어, 본 연구자는 추후 이 문헌에 관한 연구를 외연(外延)하여 본고에서 고찰한 담론 외에도 신앙정체성, 설교 이론, 복음에 관한 이해, 기독교윤리, 그리스도인의 성화, 정의관, 민족애, 독립정신, 민족복음화, 평화론, 세계선교, 기독교 인재 양성, 사회참여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Jonggyogye Jemyeongsa Gangyeonjip is the first Korean sermon collection published during the early era of Japanese Cultural Policy(1919-1930) in 192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of early Korean Christian leaders, focusing on Rev. Man-Jip Lee’s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Children”, Rev. Gyu-Chan Kang’s “Praise of Love”, Rev. Pil-Ju Lee’s “Know Who You Really Are”, Visitator Hong-Ju Lee’s “The Power of Conscience”, and Rev. Du-Song Kang’s “Women’s Issue”. The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Jonggyogye Jemyeongsa Gangyeonjip are based on these five sermons.
    The key points and arguments of the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these five serm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uthor concentrates on Man-Jip Lee’s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Children”, focusing on prenatal education before childbirth, virtue after childbirth, parents as an educational model, and so on. Secondly, the author deals with Gyu-Chan Kang’s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Praise of Love”,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inner love, the education of external practice, the organic integration of internal love and external practice, and so on. Thirdly, the author studies Pil-Ju Lee’s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Know Who You Really Are”,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human beings, the knowledge of God, the logical order between of the knowledge of human beings and the knowledge of God, and so on. Fourthly, the author analyzes Hong-Ju Lee’s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wer of Conscience”, focusing on exemplary image of Christians, faith of coram Deo, the view of motivative ethics, purpose awareness and vision of Korean Christians, national evangelization, and so forth. Fifthly, the author demonstrates Du-Song Kang’s discourses on Christian education in “Women’s Issue”, focusing on women’s entry into society,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promotion plans for women’s education, and so forth.
    In light of remarkable arguments and meaningful challenges, I propose future extensions of this discourse into other important issues such as faith identity, the theory of sermon, understanding of the Gospel, Christian ethics, Christian sanctification, the view of justice, patriotism, the spirit of independence, national evangelization, the theory of peace, world mission, cultivation of Christian talent, social participation, and other related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