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주민 시의 ‘그림자(Shadow)’ 형상화 문제 -장진성의 시집과 수기를 중심으로- (The imagery issue of 'shadow' in North Korean refugees’ poem -based on Chang Jin Sung's poetical work and memoir-)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4.08
9P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 시의 ‘그림자(Shadow)’ 형상화 문제 -장진성의 시집과 수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7호 / 525 ~ 533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박덕규

    초록

    이 논문은 북한이탈주민 시의 그림자 형상화 문제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예술문화 활동이 눈에 띈다. 드라마와 영화 같은 영상 장르의 경우 작품의 주인공이나 소재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문학․무용․음악․미술․공연 등의 순수 예술 장르에서는 전자와 더불어 행위의 주체로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매체적 특성으로 볼 때, 드라마나 영화, 토크쇼 프로그램 같은 경우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지만 문학을 비롯한 순수 예술 분야는 전자에 비해 직접 접할 기회가 적은 편이다.
    남한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시집이나 수필을 비롯한 저작물이 활발하게 유통된 시점은 2000년대 이후다. Ⅰ장에서는 개성화 과정으로서의 시창작이라는 제목으로 2000년 이후 출판된 북한이탈주민의 시집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들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포착된 정서는 북한이탈로 인해 발생한 슬픔과 분노, 그리움과 희망이었다.
    특히, 시집 두 권을 비롯해 수필까지 출판한 장진성의 텍스트에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진 슬픔과 분노의 정서가 집약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Ⅱ장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그림자의 시적 형상화를 주제로 하여, 소주제 ‘탈북체험의 그림자 형상화 문제’와 ‘정착 의지로서 그림자 형상화 문제’에 대해 장진성의 작품 중 서사성이 강한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림자 즉, 슬픔과 분노의 표현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간의 정서를 언어로 빚어낸 시에서 ‘그림자의 형상화 문제’는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다. 왜냐하면 본인을 비롯한 집단이 지닌 상처의 전모를 전면적으로 또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시는 상징과 은유 등의 기법으로 에둘러 말하기 즉 직설적 말하기에 비해 안전한 방법으로 자기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장진성의 시에 나타난 슬픔과 분노는 전자의 기법적 특성을 지니면서 내용적 측면에서는 그러한 정서를 초월하는 철학적 주제를 담고 있었다. 일면 시가 가진 함축성은 독자의 상상력을 증폭시키는 기능도 하지만, 구체적인 정황이나 서사의 인과관계를 따지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연대기적 순서로 집필된 그의 수필을 통해 내용이 보완되었다. Ⅲ장에서는 문학적 형상화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들 또한 자기실현 즉 개성화의 관점에서 ‘그림자’를 직시하고 표현하고 있었으며 이는 북한이탈이라는 특이성을 공통점으로 지니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창작되고 출판되고 있었지만 여전히 문학성에 대한 논의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것은 개성화 과정으로서의 시창작이 그들의 실제 삶과 닮아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예측한다.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한 집단적 트라우마는 잊혀지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무의식 속의 그림자는 인간이 살아 있는 동안 끊임없이 따라다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들의 작품이 온전한 정착으로서의 의지와 희망의 장으로서 자리매김하기를 기원하는 동시에 통일시대를 대비한 국가적 과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원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view the issue of shadow imagery in North Korean refugees poem. Recently, artistic movements related with North Korean refugees are noticeable. As for visual genre such as drama or movie, it is commonly being used as the work's main character or subject matter. Also, as for pure art such as literature, dance, music and art performance, there are some cases when North Korean refugees become the person in action. Considering the medium characteristics, drama, movie and talk show programs are easy to access. On the other hand, pure art including literature are rather harder to encounter.
    It is after year 2000 when North Korean refugees writings such as poems or essays has widely spread in South Korea. In the first chapter, with the title of poem making as the individuation process, we looked over the general flow of poem works published after 2000.The common sentiment throughout their works were sadness, anger, longing and hope from the escape from north korea.
    Especially, in the text of Jang Jin Sung who published two poem books and essay expressed intensively the sorrow and anger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chapter 2, with such in mind the subject was the poem imagery of shadow and based on Chang Jin Sung's work with strong narrative text we looked at the shadow, in other words, the aspect of sadness and anger with the sub-theme 'issue of shadow imagery of escaping' and 'issue of shadow imagery as the will of settlement' In poems which create humans emotions into words, the issue of 'shadow imagery' is sensitive and important subject. The reason is that it is not easy to reveal the reality of one's wound and the group's completely. In that text, comparing with direct talking, poem can be expressed symbolically and metaphorically which is much safe and carries the merit of being able to express oneself. The sorrow and anger lying in Jang Jin Sung's has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earlier and in the context had philosophical subject that overwhelmed such emotions. The implication the poem has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reader's imagination but when it came to analyzing specific situa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e have came to meet some difficulties. We predict that it might be a counterevidence that poem making is much like their actual lives as a individuation process. The group trauma that North Korean refugees went through is not something that disappears or forgotten. The reason is because the shadow in unconsciousness constantly follows the person when being alive. This thesis wishes their works be settled as a meaning of will and hope and aims to be used as the nation's basis data in preparing the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