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온돌야화(1927), 조선민담집(1930) 수록본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Oral Folktales Collected by Bang Jung hwan -Focusing on the folktales recorded in Ondolyahwa(1927) and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9
38P 미리보기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온돌야화(1927), 조선민담집(1930) 수록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방정환연구 / 4권 / 2호 / 97 ~ 134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이글은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와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수록된 방정환 이 제보한 설화 6편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방정환이 제보한 6편의 설화는 정인섭의 온돌야화(1927)에 실린 <산과 강>, <어느 양반의 이야기>, <포도대장>, 온 돌야화에서 57편의 설화를 추가한 Folk Tales from Korea(1952)에 실려 있는 <호박 장군>, 손진태의 조선민담집(1930)에 실린 <개와 고양이의 구슬>, <수탉전설>이다.
    먼저, 방정환의 설화 서사 구성 전략을 전통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 통적인 설화 구성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서두(序頭) 공식구’와 ‘용궁 노정’ 화소의 삽 입과 같은 ‘공식적 표현’의 활용이다. ② 대표적인 설화문법인 ‘대립과 과장 기법’의 사* 춘천교육대학교, piece71@hanmail.net98 8호용이다. ‘대립과 과장’은 <호박 장군>에서처럼 ‘식욕’과 ‘배출’의 상황적 대립과 과장, <산과 강>, <포도대장>에서처럼 거성(巨性)과 소성(小性)의 인물적 대립과 과장으로 드 러나는데 방정환은 이를 통해 설화다운 해학적이고 유쾌한 웃음의 미학을 완성한다.
    개성적인 텍스트 구성의 변주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구전설화의 구성 요소를 당대 의 현실성과 민족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변주한다. ② 단일서사에 다른 서사를 결합하 는 방식의 ‘복합서사화’ 변주가 두드러진다. ‘복합서사화’는 핵심 단일서사의 조합, 여러 구전설화 에피소드에 창작 에피소드 병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정환은 설화의 서사 구성 에서 여러 에피소드 병합의 변주를 통해 ‘인과응보’ 주제의식을 강화하여, 일제 식민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대중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③ 설화의 서사 구성에 ‘미스터리 기 법’을 적용하고 있다.
    방정환 구연 설화의 의의는 첫째, 기존의 아동문학으로 국한된 방정환의 연구 범위를 성인 향유 대상의 구술문학까지 확장하였다. 둘째, 설화 서사 구성의 변주 속에 방정환 동화에 주로 담긴 사회적 의미가 함의된 바, 방정환 구연 설화의 서사문법적 특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셋째, 방정환 구연 설화에 변주된 화소와 기법은 현대 동화 창작에서 활용적 가치가 크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which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and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The six folktales reported by Bang Jung-hwan are as follows. <The Moutains and the Rivers>, <The Story of a Gentleman>, and <The Police Marshal> are included in Jeong In-seop’s Ondolyahwa(1927). <General Pumpkin> is included in Folk Tales from Korea(1952), which added 57 folktales to Ondolyahwa. In Son Jin-tae’s Choseon Folktale Collection(1930), <Dog and Cat’s Bead> and <Legend of the Rooster> are in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text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s chosen by Bang Jung-hwan, focusing on th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folktale narrative composition.
    Bang Jung-hwan’s traditional composition strategy of folktale utilizes formulaic expressions,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sertion of the ‘introductory formula’ and ‘the palace of sea kings journey’ motif. He also uses folktale grammar of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In <The Moutains and the Rivers> and <The Police Marshal>, the humorous and hilarious aesthetics of laughter of folktales are completed through the confrontation and exaggeration of characters with giant and small characteristics.투고일(2022년 8월 8일), 심사일(2022년 8월 25일), 게재확정일(2022년 9월 1일) 133 박현숙 | 방정환 구연 설화의 특성과 의미His strategy of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unique texts transform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oral folktales into ingredients that reinforce the reality and nationality of the time. In his folktales, a variation on making ‘multiple narrative’ of combining a single narrative with other narratives stands out. Making ‘multiple narrative’ is completed by combining a single core narrative and merging creative episodes into several oral folktale episodes.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s text, Bang Jung-hwan strengthened the theme awareness of ‘punitive justice’ through variations of the merging of several episodes, and presented hope to the public in the dismal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He also applied the ‘mystery technique’ to the text of folktale.
    The first significance that can be found in Bang Jung-hwan’s folktales is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Bang’s author theories and works, which were limited to children’s literature, to oral literature for adults to enjoy. Second, the social meaning mainly contained in Bang Jung-hwan’s fairy tales in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folktale text, confirming the narrative grammar of Bang Jung-hwan. Finally, the motifs and techniques that are varied in the folktales of Bang have great utility value in the creation of modern fairy 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정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