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生窺墻傳」과 「그 여자네 집」 함께 읽기를 통한 한문소설 수업 방안 모색 (Finding ways to teach Sino-Korean novels through comparative read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0.12
34P 미리보기
「李生窺墻傳」과 「그 여자네 집」 함께 읽기를 통한 한문소설 수업 방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55호 / 49 ~ 82페이지
    · 저자명 : 김하라

    초록

    본고에서는 한문소설 강독 수업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비교 독서의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김시습의 「이생규장전」과 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이 그 비교 독서의 대상이 되었다.
    각각 14세기와 20세기를 시간적 배경으로 삼은 이 두 작품의 남녀 주인공, 즉 이생과 최씨 그리고 장만득과 곱단은 저마다 용모가 준수하고 총명한 데다 문예 취향이 있는 인물들이다. 이들은 같은 마을에 살며 그 마을을 대표할 만한 아름답고도 이상적인 청춘남녀로 귀하게 여겨졌으며, 가족과 마을 사람들의 지지와 축복 속에 자연스럽게 가까워지게 되었다. 학생 신분의 두 남자 주인공이 옆구리에 책을 끼고 오가던 낯익은 통학길은 그들이 저마다 연인을 만나고 사랑을 가꾸어가는 장소가 되어 주었다. 그 장소는, 각각의 소설이 창작된 시간의 간극 500년을 뛰어넘어, 지금 북한의 황해북도 개성이라는 공간적 일치점을 갖는다. 요컨대 두 쌍의 청춘남녀, 그리고 그들을 사랑한 가족과 공동체는 모두 개성 사람인 것이다. 이 두 쌍의 청춘남녀의 행복한 사랑은 오직 짧은 시간 동안만 환하게 빛났을 뿐, 그 뒤에는 곧 길고 어두운 이별이 영원히 이어졌다. 이생과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최씨는 1361년 홍건적의 침입 때 外賊의 겁탈에 저항하다 목숨을 잃었다. 만득과의 혼인을 기다리던 곱단은 1945년 ‘정신대’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 중년 남자의 재취가 되어 고향 마을을 떠났고 다시는 돌아오지 못했다. 두 주인공 여성은 전쟁과 외침에 수반되는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피하는 과정에서 처참한 죽음, 혹은 죽음과 다름없는 희생을 당했다. 그리고 두 주인공 남성은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영영 잃은 채 세상에 남겨졌으나 끝내 그 사람을 마음에 간직했다. 이처럼 주인공 남녀가 ‘짧은 만남과 긴 이별’을 겪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의 인연을 관통하는 가치가 사랑을 넘어선 信義라는 점이 또한 「이생규장전」과 「그 여자네 집」이 공유한 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작시기 면에서 500년이 넘는 간극에도 불구하고, 이 두 한국소설은 이처럼 상당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점에서 학습자는 「그 여자네 집」을 디딤돌로 삼아 한문소설인 「이생규장전」 등장인물의 성격과 내면심리의 이해를 보다 구체화할 수 있다. 아울러 북한의 개성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이 두 작품의 공통점과 그 이유를 탐구하는 과정은, 한반도 주민의 당면 과제인 평화와 통일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시야를 열어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by comparing a Korean novel of the Joseon Dynasty with a modern Korean novel, I tried to find a method to induce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enhance the learning effect in the class reading Sino-Korean novels. Kim Si-seup's “Yisaeng peeks inside the fence” and Park Wan-seo's “Her House” are the objects of comparison.
    With the 14th and 20th centuries as temporal backgrounds, respectively,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of these two novels, namely, Yisaeng and Lady Choi, and Man-deuk and Gopdan, each have a good appearance, intelligent, and literary taste. They lived in the same village and were regarded as precious as beautiful and ideal young men and women who could represent the village, and they naturally came close to the support and blessings of their families and villagers. The familiar commute road where two male protagonists of student status came and went with books on their sides became a place where they met their lover and made love. The place, beyond the 500-year gap in the time when each novel was created, has a spatial congruence point of Gaeseong in North Korea. In short, the two pairs of young men and women, and the family and community who loved them, are all Gaeseong people. The happy love of these two pairs of young men and women shone brightly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a long and dark farewell followed forever. The two female protagonists suffered a terrible death or a sacrifice equal to death in the process of avoiding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ccompanying war and foreign invasion. And the two male protagonists were left in the world with their loved ones forever lost, but in the end they kept that person in mind. Despite the gap of more than 500 years in terms of creation period, these two Korean novels have such a great deal in common. In this respect, the learner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inner psychology more specifically. Moreover, the learners who are residents of the Korean peninsula can advance to deep thoughts on the issue of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